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완(大阮) - 완적(阮籍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. 죽림칠현(竹林七賢)의 일원이며, 노장(老莊)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(淸談)으로 세월을 보냄.
210~263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왕(代王)@유여의 - 유여의(劉如意)
중국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의 넷째 아들. 척부인(戚夫人)의 소생으로, 고조가 태자 유영(劉盈)를 폐하고 그를 세우려 하였으나 여후(呂后)와 대신들의 반대로 무산되었으며, 고조가 죽은 후 여후에게 독살당함.
B.C.201~B.C.194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ㅣ인명>왕실>제후
-
대왕(代王)@효왕 - 효왕(孝王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무제(武帝)의 아들. 289년(무제 10)에 오왕(吳王)에 봉해지고, 셋째 아들 민제(愍帝)가 즉위하여 태보(太保)에 추증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대왕(代王)@도무제 - 도무제(道武帝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초대 황제. 재위 386~409. 중국적 국가 체제를 채용하고 한인(漢人) 명사를 임용하는 등 북위(北魏)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나, 아들 탁발소(拓跋紹)에게 살해됨.
371~40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대왕(代王)@문제 - 문제(文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5대 황제. 재위 B.C.180~B.C.157. 전조(田租)ㆍ인두세(人頭稅) 감면, 가혹한 형벌 폐지,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.
B.C.202~B.C.15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대왕(代王)@소성제 - 소성제(昭成帝)@남북조(북위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추존왕. 전진(前秦)의 부견(苻堅)과의 싸움에서 패하여 도망쳐 떠돌다가 아들인 탁발식군(拓拔寔君)에게 피살됨.
320~37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대왕(代王) - 공제(恭帝)@수
중국 수(隋) 나라 제3대 황제. 재위 617~618. 양제(煬帝)의 손자.
605~619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대요(大曜) - 홍언승(洪彦昇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계(缶溪). 허백정(虛白亭) 홍귀달(洪貴達)의 맏아들로, 1495년(연산군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현감(縣監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요(大耀) - 홍성(洪晟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섬(洪暹)의 《인재집(忍齋集)》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만시(挽詩)가 실려 있음.
1513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대용(大容)@오수홍 - 오수홍(吳守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창(高敞).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을 지낸 오충학(吳沖鶴)의 아들로, 1540년(중종 35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대용(大容) - 이굉(李宏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이황(李滉)의 조카이자 문인(門人)으로, 찰방(察訪)을 지내고, 시문(詩文)에 능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용(大容)@최유해 - 최유해(崔有海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1624년(인조 2) 안변 부사(安邊府使) 시절 명(明) 나라의 모문룡(毛文龍)에게 군량을 공급함.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(頌德碑)가 세워지고,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.
1587~1641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용(大容)@홍대용 - 홍대용(洪大容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양(南陽). 북학파(北學派) 실학자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(朴趾源)ㆍ박제가(朴齊家) 등과 교유하고, 지전설(地轉說)을 주장하는 등 조선 후기 과학사상의 발전에 공헌함.
1731~178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용(大容)@곽한 - 곽한(郭瀚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현풍(玄風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금계(錦溪) 황준량(黃俊良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문사>유학
-
대용(大容)@구곤원 - 구곤원(具坤源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을 지낸 구변(具忭)의 아들로 1570년(선조 3)에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했고, 장흥고 봉사(長興庫奉事)를 지냈으며, 윤근수(尹根壽) 등과 교유함.
1550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용(大容)@박대용 - 박대용(朴大容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한성부 참군(漢城府參軍)을 지낸 박영석(朴永錫)의 아들. 1561년(명종 16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권호문(權好文)의 시가 실려 있음.
1536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대용(大用)@이역 - 이역(李櫟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(敦寧府主簿)를 지낸 이대(李薱)의 넷째 아들이고, 이즙(李楫)ㆍ이백(李柏)ㆍ이건(李楗)의 아우이며 이노(李櫓)ㆍ이박(李樸)ㆍ이량(李樑)의 형. 1540년(중종 35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공조 좌랑(工曹佐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대용(大用) - 신상(申鏛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《연산군일기》 편찬에 참여함.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.
1480~1530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용(大用)@윤행 - 윤행(尹行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남(海南). 윤효정(尹孝貞)의 아들로, 1531년(중종 2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목사(牧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용(大用)@이숙량 - 이숙량(李叔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보(李賢輔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성리학(性理學) 연구에 전념함.
1519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