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원난약(大原蘭若) - 대원사(大原寺)
백제 무령왕(武寧王) 때 전라도 보성(寶城) 천봉산(天鳳山)에 건립한 사찰. 송광사(松廣寺)의 말사. 503년(무령왕 3) 아도(阿道)가 ‘죽원사(竹原寺)’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고, 통일신라 때 오교구산(五敎九山) 중 열반종(涅槃宗)의 8대 가람 중 하나였으며, 고려 때 대원사(大原寺)로 개칭함.
503 한국>백제 , 전라도>보성 , 유적>건물>사찰
-
대원선사(大圓禪師) - 영우(靈祐)
중국 당(唐) 나라 때의 승려. 위앙종(潙仰宗)의 창시자. 항주(杭州) 용흥사(龍興寺)에서 수계를 받고, 백장 회해(百丈懷海)의 입실제자가 되어 불법을 전수받음.
771~85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월국(大越國) - 대월(大越)
베트남의 3대 왕조(王朝) 가운데 첫 번째 왕조. 1010년 이온공(李蘊公)이 하노이(河內)에 도읍하여 세웠으며 아들인 태종(太宗)이 국호를 대월(大越)이라 함. 최초의 안정된 베트남 왕조로 근대 베트남 왕조의 특징이 이 시기에 형성됨.
기타지역 , 시간>국명
-
대위(大▼(由/己)) - 이대위(李大▼(由/己)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1570년(선조 3) 생원시에 입격하여 사옹원 참봉(司饔院參奉)을 지냈으나, 이후 더 이상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주력함. 남원(南原)의 영천서원(寧川書院)에 배향됨.
1540~160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유(大有)@기대유 - 기대유(奇大有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기효간(奇孝諫)ㆍ기효근(奇孝謹)의 아버지. 고봉(高峰) 기대승(奇大升)의 사촌이며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함. 진용교위(進勇校尉)에 올랐고 고흥군(高興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무신
-
대유(大有)@경연 - 경연(慶延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효행으로 천거되어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유(大有)@극부 - 극부(克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승려. 《충암집(冲庵集)》에 김정(金淨)이 써준 서문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유(大有)@김대유 - 김대유(金大有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직제학(直提學) 김준손(金駿孫)의 아들이며, 김일손(金馹孫)의 조카. 정여창(鄭汝昌)의 문인으로, 조광조(趙光祖)ㆍ조식(曺植) 등과 친교를 맺음.
1479~155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유(大有)@송우 - 송우(宋佑)
조선 전기의 유학. 심언광(沈彥光)의 《어촌집(漁村集)》에 그에 대한 이별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대유(大有)@연부 - 연부(年富)
중국 명(明) 나라 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호부 상서(戶部尙書) 등을 지냄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유(大有)@이연 - 이연(李延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사재 주부(司宰主簿) 등을 지냈으며, 지극한 효성에 대한 일화가 남효온(南孝溫)의 《추강냉화(秋江冷話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유(大有)@임대유 - 임대유(任大有)
조선 후기의 유학. 죽천(竹川) 박광전(朴光前)에 대해 평가한 내용이 《죽천집(竹川集)》에 보임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대유(大柔) - 김구(金絿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. 본관은 광산(光山). 글씨에 뛰어나 안평대군(安平大君) 이용(李瑢)ㆍ양사언(楊士彦)ㆍ한호(韓濩)와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힘.
1488~153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예산ㅣ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유(大猷)@사마유 - 사마유(司馬攸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무제(武帝)의 동생. 아버지 사마소(司馬昭)가 차남 사마유(司馬攸)를 세자로 삼으려고 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에 장자 사마염(司馬炎)을 세자로 삼음. 사공(司空) 등의 벼슬을 지냄.
248~28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대유(大猷) - 김굉필(金宏弼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서흥(瑞興)으로,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극형에 처해짐. 정여창(鄭汝昌)ㆍ조광조(趙光祖)ㆍ이언적(李彦迪)ㆍ이황(李滉) 등과 함께 오현(五賢)으로 문묘에 종사됨.
1454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유(大猷)@강사필 - 강사필(姜士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낸 강온(姜溫)의 아들. 조욱(趙昱)의 문인으로, 충청 감사(忠淸監司)ㆍ강원 감사(江原監司) 등을 지냄.
1526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유(大維) - 배대유(裵大維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한강(寒岡) 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곽재우(郭再祐)와 함께 화왕산성(火旺山城)을 수비함. 계축옥사(癸丑獄事) 때 공을 세웠으며, 인목대비(仁穆大妃) 폐모론에 적극 참여함.
1563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유(大裕) - 백광홍(白光弘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미(海美)로, 일재(一齋) 이항(李恒)의 문인. 평안도 평사(平安道評事)로 있을 때 가사(歌辭) 〈관서별곡(關西別曲)〉을 지었으며, 김인후(金麟厚)ㆍ이이(李珥) 등과 도의(道義)로 교유함.
1522~15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유(大遺) - 차희윤(車熙胤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(刑曹正郞)ㆍ평안 도사(平安都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윤(大潤) - 김대윤(金大潤)
고려 후기의 문신ㆍ은자. 고려 말 불사이군(不事二君)의 절의정신(節義精神)으로 관직을 버리고 자연에 은거하며 출사(出仕)하지 않은 팔은(八隱) 중의 한 사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