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제(文帝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추존 황제. 사마의(司馬懿)의 둘째 아들로 위(魏) 나라에서 대장군(大將軍) 등을 지내면서 촉한(蜀漢)을 멸망시켜 진왕(晉王)이 됨. 아들 사마염(司馬炎)이 원제(元帝)의 선양을 받아 진 나라를 세우고 황제로 추존함.
215~265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제(文帝)@남북조(북위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추존 황제. 신원제(神元帝)의 아들로, 태자로 있을 때 중원의 문물을 배우고 귀국하였으나 누명으로 죽고, 그의 아들인 탁발의이(拓拔猗㐌)가 부족을 통일하여 환제(桓帝)가 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제(文帝)@남북조(북주)
중국 남북조시대 북주(北周) 무제(武帝)의 아버지. 서위(西魏)의 재상으로 정권을 잡아 이호(李虎)ㆍ양충(楊忠) 등과 함께 8주국(八柱國)으로 불렸으며, 부병(府兵) 제도 등 관제와 법률을 정비하여 북주의 기초를 닦음. 후에 태조 문황제(太祖文皇帝)로 추존됨.
505~55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국왕
-
문제(文帝)@수
중국 수(隋) 나라의 초대 황제. 재위 581~604. 북주(北周) 정제(靜帝)에게서 왕위를 선양(禪讓) 받아 수 나라를 세우고 남조(南朝)의 진(陳)을 평정하여 남북조를 통일함.
541~604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제(文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5대 황제. 재위 B.C.180~B.C.157. 전조(田租)ㆍ인두세(人頭稅) 감면, 가혹한 형벌 폐지,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.
B.C.202~B.C.15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제(文帝)@삼국(위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초대 황제. 재위 220~226. 후한(後漢) 헌제(獻帝)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위(魏)를 세움.
187~226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제(文帝)@남북조(송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송(宋) 나라의 제3대 황제. 재위 424~453. 귀족을 중용하고 문치(文治)를 위주로 하여 원가(元嘉)의 치세(治世)를 주도함.
407~45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제(文帝)@남북조(서위)
중국 남북조시대 서위(西魏)의 제1대 황제. 재위 535~551. 북위(北魏) 효문제(孝文帝)의 손자로, 선비족(鮮卑族)인 우문태(宇文泰)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, 대통(大统) 연호를 사용함.
507~55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종(文宗)@조선
조선 제5대 왕. 재위 1450~1452.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(世宗)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,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.
1414~145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종(文宗)@고려
고려 제11대 왕. 재위 1046~1083. 각종 법률 제정으로 내치(內治)를 다지고 국방ㆍ외교에도 힘썼으며, 유학을 장려하고 송(宋) 나라 문화를 수입하여 문화의 황금기를 이룸.
1019~1083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종(文宗)@원
중국 원(元) 나라의 13대 황제. 재위 1329~1332. 북방 영주파(領主派)가 추대한 태정제(泰定帝)가 죽자 연철목아(燕鐵木兒) 등 궁정관료파의 옹립으로 황제에 오름.
1304~133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종(文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14대 황제. 재위 826~840. 형인 경종(敬宗)을 죽인 환관(宦官)들에 의해 옹립된 후 환관들의 횡포에 군권(君權)을 농단(壟斷)당함.
809~84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종(文種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월왕(越王) 구천(句踐)의 대부(大夫). 구천(句踐)을 도와 오(吳) 나라를 평정함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문종실록(文宗實錄)
조선 제5대 문종(文宗) 연간의 역사 기록. 총 13권이었으나 제11권이 산일(散逸)되어 현재 12권만 전하며, 정인지(鄭麟趾)ㆍ정창손(鄭昌孫) 등이 편찬을 담당하여 1455년(단종 3)에 완성함.
145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문주백(文周伯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정간공(靖簡公) 문천강(文天降)의 아들로, 내의시랑(內議侍郞)ㆍ대사마(大司馬)ㆍ상주국 평장사(上柱國平章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주왕(文周王)
백제 제22대 왕. 재위 475~477. 개로왕(蓋鹵王)의 아들이며, 삼근왕(三斤王)의 아버지. 즉위 후 웅진(熊津)으로 천도하고 국방에 힘썼으나 실패하였으며, 병관좌평(兵官佐平) 해구(解仇)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그의 하수인에게 살해됨.
?~477 한국>백제 , 충청도>공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중달(文仲達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평서개국군(平西開國君) 문정(文挺)의 아들로, 이부 상서(吏部尙書)ㆍ평장사(平章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지원(文智遠)
고려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양간공(讓簡公) 문인걸(文仁傑)의 아들로, 서북면 대장군(西北面大將軍行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무신
-
문천(文川)
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
함경도>문천 , 지명>행정지명
-
문천강(文天降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영평개국남(永平開國男) 문탁(文倬)의 아들로, 문하시중 찬성사(門下侍中贊成事)ㆍ태사(太師)ㆍ태부(太傅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