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은(大隱) - 변안열(邊安烈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본래 중국 심양(瀋陽)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원주(原州)로 본관을 하사받았으며, 홍건적(紅巾賊)과 왜구(倭寇) 격퇴에 공을 세움.
?~1390 한국>고려후기 , 중국ㅣ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무신
-
대은(戴隱) - 대규(戴逵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화가ㆍ학자.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(謝安)ㆍ사현(謝玄)ㆍ왕순(王珣)ㆍ왕휘지(王徽之) 등에게 존경을 받음.
?~39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
-
대음광(大飮光) - 가섭(迦葉)
고대 인도의 승려. 석가(釋迦)의 십대(十大) 제자 중 한 사람. 본래 바라문으로, 석가가 성도(成道)한 지 3년쯤 뒤에 귀의하여 부처의 심인(心印)을 전해 받은 사람.
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응(大凝) - 권대응(權大凝)
조선 전기의 문신. 훈도(訓導)를 지냈고 권문해(權文海)와 교유하였으며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만사(輓詞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의왕(大醫王) - 약사불(藥師佛)
열두 가지 대원(大願)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(病苦)에서 구하고, 무명(無名)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.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.
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대의왕불(大醫王佛) - 약사불(藥師佛)
열두 가지 대원(大願)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(病苦)에서 구하고, 무명(無名)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.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.
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대이(大而)@하응림 - 하응림(河應臨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예조 정랑(禮曹正郞) 등을 지내고, 문장이 뛰어나 송익필(宋翼弼) 등과 함께 ‘팔문장(八文章)’으로 불렸으며, 서(書)ㆍ화(畫)에도 능했음.
1536~156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이(大而) - 김석홍(金錫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화를 입은 기묘당인(己卯黨人) 중의 한 명.
1493~156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이(大而)@조광익 - 조광익(曹光益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 〈주자연보(朱子年譜)〉에 보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대이(大而)@김옹 - 김옹(金顒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전력(展力) 김삼산(金三山)의 아들로, 1519년(중종 14) 현량과(賢良科)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을 지냄.
148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이아(大耳兒) - 소열제(昭烈帝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의 제1대 황제. 재위 221~223. 후한(後漢)의 영제(靈帝)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, 후에 제갈량(諸葛亮)의 도움을 받아 오(吳) 나라의 손권(孫權)과 함께 조조(曹操)의 대군을 적벽(赤壁)에서 격파함.
161~223 중국>삼국시대ㅣ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대익(大翼) - 상붕남(尙鵬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목천(木川). 범허정(泛虛亭) 상진(尙震)의 아들로, 강계 부사(江界府使)를 지낸 이제신(李濟臣)의 장인.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였지만 32세의 나이로 죽음. 시서(詩書)에 능했음.
1511~154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목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인(大人) - 정대인(鄭大人)
중국 명(明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안찰제조 학교부사(按察提調學校副使)를 지냄. 《표해록(漂海錄)》의 저자 최보(崔溥)가 항주(杭州)에서 만난 인물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일(大逸) - 유대일(兪大逸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좌의정(左議政) 유홍(兪泓)의 아들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를 지냄. 그의 시문집인 《용은집(慵隱集)》이 《송당집(松塘集)》에 실려 있음.
1572~164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임(大任) - 성식(成軾)
조선 전기의 유학. 백광훈(白光勳)의 《옥봉집(玉峯集)》에 〈성대임가유별(成大任家留別)〉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대임(大任)@박대임 - 박대임(朴大任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한성부 참군(漢城府參軍)을 지낸 박영석(朴永錫)의 아들. 1552년(명종 7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찰방(察訪)을 지냄.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권호문(權好文)의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임(大任)@금축 - 금축(琴軸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봉화(奉化)로, 동래 현령(東萊縣令)을 지낸 금휘(琴徽)의 손자. 1531년(중종 26)에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고, 1540년(중종 35) 권벌(權橃)에 의해 일사(逸士)로 천거되어 제릉 참봉(齊陵參奉)에 임명됨.
1496~156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임(大任)@정두 - 정두(鄭枓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진사 정언보(鄭彦輔)의 아들이며, 지헌(芝軒) 정사성(鄭士誠)의 아버지로, 사섬시 첨정(司贍寺僉正) 등을 지냄.
1508~157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자운광성굉명대사(大慈雲匡聖宏明大師) - 문언(文偃)
중국 당(唐) 말~오대(五代)의 선승(禪僧). 운문종(雲門宗)의 시조(始祖).
864~949 중국>오대십국ㅣ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장(大丈) - 김자유(金子由)
고려 후기의 유학. 이규보(李奎報)와 교유하였고,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에 그를 위해 지은 시가 남아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