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장(臺長) - 사헌부(司憲府)
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, 풍속의 교정, 백관(百官)에 대한 규찰과 탄핵, 서경(署經) 등을 담당한 관청.
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시대 , 법제>관청
-
대장(隊仗) - 경학대장(經學隊仗)
통일신라시대의 학자ㆍ문장가인 최치원(崔致遠)이 지었다는 책. 경학(經學)의 원리와 그 실용책(實用策)을 종목별로 열거함. 3권 1책. 활자본(活字本).
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대재(大哉) - 하맹보(河孟寶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노진(盧禛)의 문인(門人)으로, 노진을 애도하며 지은 제문(祭文)이 《옥계집(玉溪集)》에 실려 있으며, 함양(咸陽)의 구천서원(龜川書院)에 배향됨.
1531~159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대저(大邸) - 문제(文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5대 황제. 재위 B.C.180~B.C.157. 전조(田租)ㆍ인두세(人頭稅) 감면, 가혹한 형벌 폐지,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.
B.C.202~B.C.15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대적선사(大寂禪師) - 도일(道一)
중국 당(唐) 나라의 선승(禪僧). 남악 회양(南岳懷讓)의 법을 이어 종풍(宗風)을 일시에 융성시키고, 후일 임제종(臨濟宗)으로 발전함. 일상생활 속에서 선(禪)을 실천하는, '평생심시도(平生心是道)'를 주창함.
709~78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전(大典) - 경국대전(經國大典)
조선 세조(世祖)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(成宗)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.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(성종 15)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(敎旨)ㆍ조례(條例)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. 6권 4책. 인본(印本).
1485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법률ㅣ문헌>서명
-
대전(大田) - 이보흠(李甫欽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보(李玄寶)의 아들로, 지대구군사(知大丘郡事)를 지낼 때 성공적으로 사창법(社倉法)을 실시함. 세조 때 단종복위(端宗復位)를 모의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유배된 뒤 교살(絞殺)됨.
?~145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전거사(大田居士) - 이보흠(李甫欽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보(李玄寶)의 아들로, 지대구군사(知大丘郡事)를 지낼 때 성공적으로 사창법(社倉法)을 실시함. 세조 때 단종복위(端宗復位)를 모의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유배된 뒤 교살(絞殺)됨.
?~145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전전속록(大典前續錄) - 대전속록(大典續錄)
조선시대 기본법전인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 반포 이후 성종(成宗) 22년(1491)까지의 새로운 수교(受敎)와 법규(法規)를 수집하여 편찬한 법전. 6권 1책. 목판본.
149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법제>법률ㅣ문헌>서명
-
대정(大楨) - 유대정(兪大禎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단성 현감(丹城縣監) 유호(兪灝)의 아들. 기축옥사(己丑獄死)에 관련되어 파직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시절 이이첨(李爾瞻) 등 대북파(大北派)의 전횡이 심하자 사직하고 낙향함.
1552~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정(大禎) - 유대정(兪大禎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단성 현감(丹城縣監) 유호(兪灝)의 아들. 기축옥사(己丑獄死)에 관련되어 파직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시절 이이첨(李爾瞻) 등 대북파(大北派)의 전횡이 심하자 사직하고 낙향함.
1552~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정(大貞) - 김대정(金大貞)
조선 후기의 유학. 김륭(金隆)의 《물암집(勿巖集)》에 그에게 화답하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대정(大鼎) - 기대정(奇大鼎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음보(蔭補)로 강릉 참봉(康陵參奉)이 되었고, 품계를 뛰어 넘어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과 장령(掌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정강(大定江) - 박천강(博川江)
평안도 천마산(天馬山)에서 발원하여 청천강(淸川江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, 사행로이자 유람지임.
평안도>태천ㅣ평안도>박천 , 지명>자연지명
-
대정공(大鄭公) - 정백웅(鄭伯熊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의 사상을 계승한 영가학파(永嘉學派)를 부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. 저서에 《몽재필담(蒙齋筆談)》ㆍ《부문서설(敷文書說)》이 있음.
1127~118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제(大齊) - 남당(南唐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때 이변(李昪)이 오국(吳國)의 예제(睿帝)를 몰아내고 금릉(金陵)에 세운 나라. 3대 38년 만에 송(宋) 나라에게 멸망됨.
937~975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시간>국명
-
대조(大調) - 금궁조(琴宮操)
조선 후기의 유학. 금경의(琴景儀)의 아들로,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이 대조(大調)라는 자(字)를 지어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대조영(大祚榮) - 고왕(高王)
발해 제1대 왕. 재위 699~719.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규합하여 지금의 길림성(吉林省) 돈화현(敦化縣) 지역인 동모산(東牟山)에 도읍하여 진(震)이라는 나라를 건국함. 713년 국호를 발해(渤海)로 바꿈.
?~719 한국>발해 , 인명>왕실>국왕
-
대종(岱宗) - 태산(泰山)
중국 산동성(山東省) 태안(泰安) 북쪽에 있는 산 이름. 오악(五岳)의 하나로서 위치상 동악(東岳)에 해당하며, 중국 역대 왕조의 국가적 행사인 봉선(封禪)이 열리던 곳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대주(岱州) - 성주(星州)
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성주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