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중(大中)@이개립 - 이개립(李介立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이해(李𥩲)의 아들. 박승임(朴承任)ㆍ김성일(金誠一)의 문인으로, 효행(孝行)과 유일(遺逸)로 천거되어 참봉(參奉)을 지냈으며,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함.
1546~162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용궁ㅣ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중(大中)@성대중 - 성대중(成大中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서얼 출신으로 서얼통청운동(庶蘖通淸運動)에 힘입어 청직(淸職)에 임명됨. 홍대용(洪大容)ㆍ박지원(朴趾源) 등과 교유하여 북학사상 형성에 기여하였으며, 저서로 《청성집(靑城集)》이 있음.
1732~181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포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중(大中) - 기정진(奇正鎭)
조선 순조(純祖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행주(幸州). 이학(理學) 6대가의 한 사람이며, 위정척사(衛正斥邪)의 정신적 지주.
1798~187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성ㅣ전라도>순창 , 인명>문사>학자
-
대중(大中)@장문 - 장문(張問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정의대부(正議大夫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장수인(長壽人) 13명과 모여 기영회(耆英會)를 만들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중(大仲) - 이해수(李海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건저 문제(建儲問題)에 연루되어 종성(鐘城)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선조를 의주(義州)로 호종함. 부제학(副提學) 등을 지내고, 시와 예서에 뛰어남.
1536~159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중영공(大仲令公) - 이해수(李海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건저 문제(建儲問題)에 연루되어 종성(鐘城)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선조를 의주(義州)로 호종함. 부제학(副提學) 등을 지내고, 시와 예서에 뛰어남.
1536~159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지(大之)@나덕준 - 나덕준(羅德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해배 후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냄. 박순(朴淳)ㆍ이이(李珥)와 교유함.
1553~160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지(大之) - 여희림(呂希臨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성산(星山). 고향으로 내려가 여씨향약(呂氏鄕約)을 시행하였고, 정광필(鄭光弼)의 추천으로 복성군(福城君)의 사부가 되었으며, 도학과 문장으로 명성을 떨침.
1481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지(大支) - 유탱(柳樘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. 선조(宣祖) 때의 효자 유몽웅(柳夢熊)과 《어우야담(於于野談)》을 지은 유몽인(柳夢寅)의 아버지로, 제용감 주부(濟用監主簿)를 지냄.
1518~156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대지(大池) - 천지(天池)
함경도와 중국 길림성(吉林省)에 걸쳐 있는 백두산(白頭山) 정상의 화구호(火口湖).
함경도>갑산 , 지명>자연지명
-
대지국사(大智國師) - 찬영(粲英)
고려 충정왕(忠定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승려. 사복시 직장(司僕寺直長) 한적(韓績)의 아들이고, 보우(普愚)의 제자. 공민왕(恭愍王) 때 양가도승록(兩街都僧錄)이 되고, 우왕(禑王) 때 왕사(王師)가 되었으며, 사후에 국사(國師)의 시호를 받음.
1328~139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지도경론(大智度經論) - 대지도론(大智度論)
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(龍樹)가 저술한 《대품반야경(大品般若經)》의 주석서. 대승불교(大乘佛敎)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,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(原典)은 없고, 구마라습(鳩摩羅什)이 번역한 한역본(漢譯本) 100권만이 전함.
기타지역 , 문헌>서명
-
대지선사(大智禪師) - 회해(懷海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마조 도일(馬祖道一)의 제자로 선거(禪居)를 처음 제창하여 좌선의 법도를 새로이 구체화했으며, 선종(禪宗)의 세력을 더욱 강화시킴.
720~81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진(大津) - 벽파진(碧波津)
전라도 진도(珍島)에 있었던 나루터. 진도의 동부에 위치하여 진도의 관문 역할을 함. 임진왜란 때 수군영(水軍營)이 배치되어 있었던 곳으로 외적의 침입 경계에 중요한 역할을 함.
전라도>진도 , 지명>자연지명
-
대진(大進)@유대진 - 유대진(兪大進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좌의정 유홍(兪泓)의 아들. 이이(李珥)의 천거로 홍문관(弘文館)에 발탁되고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선무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에 책록됨.
1554~159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진(大進) - 황종해(黃宗海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회덕(懷德). 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1611년(광해군 3) 유생들과 상소하여 정인홍(鄭仁弘)의 전횡을 논박함. 폐모론(廢母論)이 일어나자 과거를 단념하고 사계(沙溪) 김장생(金長生)에게 예학(禮學)을 배움.
1579~1642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목천 , 인명>문사>학자
-
대진(大震) - 발해(渤海)
고구려 유민(遺民) 대조영(大祚榮)이 699년에 세운 나라. 중국 동북(東北) 지방ㆍ연해주(沿海州)ㆍ한반도 북부를 차지하였으며, 신라와 함께 남북국시대(南北國時代)를 이룸. 14대 228년간 존속.
698~926 한국>발해 , 시간>국명
-
대참(大參) - 소천작(蘇天爵)
중국 원(元) 나라 인종(仁宗)~순제(順帝) 때의 문신ㆍ문인. 이부 상서(吏部尙書)ㆍ강절행성참지정사(江浙行省參知政事) 등을 지냈으나, 홍건적(紅巾賊)을 진압하다가 군중에서 사망함.
1294~135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대천(代天) - 박인량(朴寅亮)@고려전기
고려 문종(文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평산(平山). 사은사(謝恩使)로 송(宋) 나라에 가서 김근(金覲)과 함께 지은 《소화집(小華集)》을 간행하여 명성을 얻었으며, 참지정사(參知政事) 등을 지냄. 저서로 《고금록(古今錄)》ㆍ《수이전(殊異傳)》 등이 있음.
?~1096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첩비(大捷碑) - 황산대첩비(荒山大捷碑)
조선 선조(宣祖) 때 전라도 남원(南原)에 세운 비석. 이성계(李成桂)ㆍ이지란(李之蘭) 장군이 1380년(고려 우왕 6)에 지리산 부근 황산에서 왜적 아기발도(阿只拔都) 군대를 물리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세움. 김귀영(金貴榮)이 짓고 송인(宋寅)이 썼으며, 남응운(南應雲)이 각자(刻字)함.
157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유적>기타유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