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충(大忠) - 여대충(呂大忠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여대방(呂大防)의 형으로, 하북전운판관(河北轉運判官) 등을 지내고, 여씨향약(呂氏鄕約)을 지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충(大蟲) - 호(虎)
호랑이. 민속(民俗)에서 잡귀(雜鬼)를 물리치고 효(孝)와 보은(報恩)의 동물로 묘사되는 등 신수(神獸)로 일컬어짐.
자연물>동물
-
대토(待兔) - 수주대토(守株待兎)
나무의 그루터기를 지켜보며 토끼가 나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, 융통성 없이 어리석고 완고함을 비유함. 《한비자(韓非子)》 〈오두편(五蠹篇)〉에 나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대토주(待兔株) - 수주대토(守株待兎)
나무의 그루터기를 지켜보며 토끼가 나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, 융통성 없이 어리석고 완고함을 비유함. 《한비자(韓非子)》 〈오두편(五蠹篇)〉에 나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대통선사(大通禪師) - 신수(神秀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북종선(北宗禪)의 조사(祖師). 동산사(東山寺)의 오조(五祖) 홍인(弘忍) 선사(禪師)에게 수학하고, 무후(武后)ㆍ중종(中宗)ㆍ예종(睿宗) 3대에 걸쳐 국사(國師)를 지냄. 낙양(洛陽)의 천공사(天空寺)에서 입적함.
605~70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팔주(大八洲) - 일본(日本)
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, 열도(列島)로 이루어진 섬나라.
일본 , 시간>국명
-
대평(大坪) - 유치명(柳致明)
조선 순조(純祖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유회문(柳晦文)의 아들로, 대사간(大司諫)ㆍ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내고, 만년에는 만우재(晩愚齋)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함.
1777~186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대풍곡(大風曲) - 대풍가(大風歌)
중국 한(漢) 고조(高祖) 유방(劉邦)이 경포(黥布)를 토벌하고 고향인 패군(沛郡)에 들렀을 때, 난세에 천하를 평정하고 금의환향한 감회를 읊은 노래.
B.C.196 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대풍사(大風詞) - 대풍가(大風歌)
중국 한(漢) 고조(高祖) 유방(劉邦)이 경포(黥布)를 토벌하고 고향인 패군(沛郡)에 들렀을 때, 난세에 천하를 평정하고 금의환향한 감회를 읊은 노래.
B.C.196 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대풍시(大風詩) - 대풍가(大風歌)
중국 한(漢) 고조(高祖) 유방(劉邦)이 경포(黥布)를 토벌하고 고향인 패군(沛郡)에 들렀을 때, 난세에 천하를 평정하고 금의환향한 감회를 읊은 노래.
B.C.196 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대하(大厦) - 안관후(安寬厚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검참판(檢參判)을 지낸 안경(安璟)의 아들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ㆍ대사간(大司諫)ㆍ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를 지냄. 다섯 형제가 모두 과거에 급제함.
1417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대하(大河) - 대릉하(大凌河)
중국 요녕성(遼寧省) 북쪽의 노노아호산(努魯兒虎山)과 남쪽의 흑산(黑山)에서 발원하여 서부의 강줄기를 합쳐 요동만(遼東灣)으로 흘러드는 강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대학서(大學書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대학전(大學傳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대학통지(大學通旨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대함(大咸) - 함지(咸池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(黃帝)가 지은 음악. 요(堯) 임금이 증보(增補)하여 연주함.
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대함(大涵) - 윤심(尹沈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윤화명(尹化溟)의 아들로, 사간원 정언(司諫院正言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항(大恒) - 기대항(奇大恒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응교를 지낸 기준(奇遵)의 아들. 권신 이량(李樑)이 사화(士禍)를 일으키려 하자, 이량의 죄상을 폭로하여 그 무리를 모두 귀양가게 함.
1519~156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해주류왕(大解朱留王) - 대무신왕(大武神王)
고구려의 제3대 왕. 재위 18~44. 유리왕(瑠璃王)의 셋째 아들. 동부여(東扶餘)를 공격하여 대소왕(帶素王)를 죽이고 고구려에 병합하였고, 국토를 살수(薩水) 이북까지 확대하였으며, 왕자 호동(好童)을 시켜 낙랑군(樂浪郡)을 정벌하는 등 많은 나라를 공략하여 무공을 세움.
4~44 한국>고구려 , 인명>왕실>국왕
-
대행내전(大行內殿) - 의인왕후(懿仁王后)
조선 제14대 선조(宣祖)의 비. 본관은 반남(潘南). 반성부원군(潘城府院君) 박응순(朴應順)의 딸로, 1569년(선조 2) 왕비에 책봉됨.
1555~160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