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학서(大學書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대학전(大學傳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대학통지(大學通旨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대함(大咸) - 함지(咸池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(黃帝)가 지은 음악. 요(堯) 임금이 증보(增補)하여 연주함.
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대함(大涵) - 윤심(尹沈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윤화명(尹化溟)의 아들로, 사간원 정언(司諫院正言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항(大恒) - 기대항(奇大恒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응교를 지낸 기준(奇遵)의 아들. 권신 이량(李樑)이 사화(士禍)를 일으키려 하자, 이량의 죄상을 폭로하여 그 무리를 모두 귀양가게 함.
1519~156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해주류왕(大解朱留王) - 대무신왕(大武神王)
고구려의 제3대 왕. 재위 18~44. 유리왕(瑠璃王)의 셋째 아들. 동부여(東扶餘)를 공격하여 대소왕(帶素王)를 죽이고 고구려에 병합하였고, 국토를 살수(薩水) 이북까지 확대하였으며, 왕자 호동(好童)을 시켜 낙랑군(樂浪郡)을 정벌하는 등 많은 나라를 공략하여 무공을 세움.
4~44 한국>고구려 , 인명>왕실>국왕
-
대행내전(大行內殿) - 의인왕후(懿仁王后)
조선 제14대 선조(宣祖)의 비. 본관은 반남(潘南). 반성부원군(潘城府院君) 박응순(朴應順)의 딸로, 1569년(선조 2) 왕비에 책봉됨.
1555~160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대헌(大憲) - 대사헌(大司憲)
고려~조선시대 사헌부(司憲府)의 장관. 정사(政事)를 논하고 백관(百官)을 감찰하여 기강을 진작하는 등의 업무를 맡았으며, 집의(執義)ㆍ장령(掌令)ㆍ지평(持平)ㆍ감찰(監察) 등의 관원을 감독하고 통솔함.
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시대 , 법제>관직
-
대현(大賢) - 김대현(金大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풍산(豊山)으로, 성혼(成渾)의 문인. 학행(學行)으로 천거되어 찰방ㆍ현감 등을 지냈고,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병을 모아 민심을 수습하는데 공헌함.
1553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혈사(大穴寺) - 해운사(海雲寺)
통일신라 때 도선국사(道詵國師)가 경상도 선산(善山) 금오산(金烏山)에 창건한 사찰. 고려 말에 길재(吉再)가 머무른 곳으로 전해지며, 임진왜란 때 폐사되었다가 복구됨.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(龜尾市)에 속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선산 , 유적>건물>사찰
-
대형(大亨) - 조창원(趙昌遠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. 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를 지낸 조존성(趙存性)의 아들로, 형조 좌랑(刑曹佐郞) 등을 지내고, 딸이 인조의 계비(繼妃)로 간택됨.
1583~164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대혜(大慧) - 종고(宗杲)
중국 송(宋) 나라의 승려. 속성은 해씨(奚氏). 임제종(臨濟宗) 승려로 동산(東山) 혜운사(慧雲寺)의 혜제(慧齊)에게서 득도(得道)하여 구족계를 받고, 원오선사(圓悟禪師)의 법을 전해 받음.
?~116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혜도경집요(大慧度經集要) - 대지도론(大智度論)
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(龍樹)가 저술한 《대품반야경(大品般若經)》의 주석서. 대승불교(大乘佛敎)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,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(原典)은 없고, 구마라습(鳩摩羅什)이 번역한 한역본(漢譯本) 100권만이 전함.
기타지역 , 문헌>서명
-
대혜선사(大慧禪師)@회양 - 회양(懷讓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혜안(慧安)에게 구족계(具足戒)를 받은 후에 조계산(曹溪山)에 들어가 선종(禪宗) 6조(祖)인 혜능(慧能) 밑에서 수행하고, 반야사(般若寺)에서 30년 동안 교화(敎化)를 펼침.
677~74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혜선사(大慧禪師) - 종고(宗杲)
중국 송(宋) 나라의 승려. 속성은 해씨(奚氏). 임제종(臨濟宗) 승려로 동산(東山) 혜운사(慧雲寺)의 혜제(慧齊)에게서 득도(得道)하여 구족계를 받고, 원오선사(圓悟禪師)의 법을 전해 받음.
?~116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호(大頀) - 대호(大濩)
중국 은(殷) 나라의 제왕인 탕왕(湯王)이 이윤(伊尹)에게 명해서 지었다는 음악 이름. 탕왕이 천하를 구제한 후 만민(萬民)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불렀다고 함.
중국>은 , 중국 , 기타>가무
-
대화(大華) - 강종(康宗)
고려의 제22대 왕. 재위 1211~1213. 명종(明宗)의 맏아들.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(崔忠獻)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, 희종(熙宗)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.
1152~121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대화루(大和樓) - 태화루(太和樓)
신라시대에 경상도 울산(蔚山)에 건립한 누각. 진주 촉석루(晉州矗石樓)ㆍ밀양 영남루(密陽嶺南樓)ㆍ평양 부벽루(平壤浮碧樓)와 함께 조선 4대 명루로 불리며, 조선 성종(成宗) 때 박복경(朴復卿)에 의해 중수됨. 《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》〈울산읍지(蔚山邑誌)〉에 기록이 남아 있음.
한국>신라 , 경상도>울산 , 유적>건물>누정
-
대효(大孝) - 박지화(朴枝華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정선박씨(旌善朴氏)의 시조.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으로, 유(儒)ㆍ불(佛)ㆍ도(道)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(氣數學)에 뛰어남.
1513~1592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정선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