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겸(德謙) - 김덕겸(金德謙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산(商山). 김홍(金洪)의 아들로, 충청 도사(忠淸都事)를 지냈으나, 1612년(광해군 4) 광해군(光海君)을 비방하는 언서(諺書)로 추국을 당한 후 은거함. 시(詩)로 명성이 높았음.
1552~1633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계(德溪) - 오건(吳健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조식(曺植)ㆍ김인후(金麟厚)ㆍ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521~15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산음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계선생문집(德溪先生文集) - 덕계집(德溪集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학자ㆍ문신인 오건(吳健)의 문집. 1729년(영조 5) 이전의 18세기 초엽에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됨. 8권 4책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덕고(德固) - 한관(韓綰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영의정 한효원(韓效元)의 아들. 1528년(중종 23) 사마 양시(司馬兩試)에 입격하여 정랑(正郞)을 지냈으며, 이황(李滉)과 주고받은 서신이 《퇴계집(退溪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곡(德谷)@조승숙 - 조승숙(趙承肅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함안(咸安)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으로 감무(監務) 등을 지내고, 조선 개국 후 고향에 은거하여 후진양성에 전념함. 두문동칠십이현(杜門洞七十二賢) 중의 한 사람.
1357~141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곡(德谷) - 조충숙(趙忠肅)
고려 말 조선~초의 충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(太祖)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(杜門洞)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(太學生) 중 72명 한 사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덕곤(德鵾) - 김덕곤(金德鵾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대사헌(大司憲)을 지낸 김덕룡(金德龍)의 동생.
152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공(德公) - 소열제(昭烈帝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의 제1대 황제. 재위 221~223. 후한(後漢)의 영제(靈帝)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, 후에 제갈량(諸葛亮)의 도움을 받아 오(吳) 나라의 손권(孫權)과 함께 조조(曹操)의 대군을 적벽(赤壁)에서 격파함.
161~223 중국>삼국시대ㅣ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덕공(德功) - 강묵(江默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이종(理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선조인 강지(江贄)가 편찬한 《자치통감절요(資治通鑑節要)》를 주희에게 질정받아 1237년(이종 1)에 출간함. 건녕현 지사(建寧縣知事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광(德光) - 김구(金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십청헌(十淸軒) 김세필(金世弼)의 둘째 아들로, 참봉(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굉(德宏) - 홍부(洪溥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홍신(洪愼)의 아들로, 사재감 정(司宰監正)ㆍ광주 목사(光州牧使) 등을 지냄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구(德久)@송복기 - 송복기(宋福基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야성(冶城). 충순위(忠順衛) 송의(宋儀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. 추천으로 소촌도 찰방(召村道察訪)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평생 명사(名士)들과 시주(詩酒)로 교유하며 일생을 마침.
1541~160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양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구(德久) - 성수익(成壽益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장흥고 영(長興庫令)을 지낸 성예원(成禮元)의 아들.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(光國原從功臣)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왕비를 호종함.
1528~159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덕구(德求) - 송상현(宋象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송화 현감(松禾縣監) 송복흥(宋復興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동래 부사(東萊府使)로서 항전하다가 순직함.
1551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무신
-
덕구(德求)@성덕구 - 성덕구(成德求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긍주(成肯柱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 효성이 지극하여 나라로부터 정문(旌門)의 표창을 받음.
1721~176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구(德耉) - 오백령(吳百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복(同福). 사옹원 직장(司饔院直長)을 지낸 오세현(吳世賢)의 아들로, 광해군(光海君) 때 폐모론을 반대하여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에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
1560~163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동복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규(德圭) - 김장(金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산(安山). 승문원 교감(承文院校勘)을 지낸 김맹강(金孟鋼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덕근(德根) - 이덕근(李德根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의령 현감(宜寧縣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김일손(金馹孫)의 《탁영집(濯纓集)》 〈금란계록(金蘭契錄)〉에 이름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근(德近) - 은진(恩津)
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.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, 강경산(江景山)․황화산(皇華山)에는 봉수(烽燧)가 있음.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(論山市)에 속함.
충청도>은진 , 지명>행정지명
-
덕기(德器) - 허원(許瑗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합천 군수(陜川郡守)를 지낸 허훈(許薰)의 아들로, 음보(蔭補)로 벼슬하여 의영고 영(義盈庫令) 등을 지냄.
1457~151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