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구(德久) - 성수익(成壽益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장흥고 영(長興庫令)을 지낸 성예원(成禮元)의 아들.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(光國原從功臣)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왕비를 호종함.
1528~159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덕구(德求) - 송상현(宋象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송화 현감(松禾縣監) 송복흥(宋復興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동래 부사(東萊府使)로서 항전하다가 순직함.
1551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무신
-
덕구(德求)@성덕구 - 성덕구(成德求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긍주(成肯柱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 효성이 지극하여 나라로부터 정문(旌門)의 표창을 받음.
1721~176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구(德耉) - 오백령(吳百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복(同福). 사옹원 직장(司饔院直長)을 지낸 오세현(吳世賢)의 아들로, 광해군(光海君) 때 폐모론을 반대하여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에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
1560~163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동복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규(德圭) - 김장(金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산(安山). 승문원 교감(承文院校勘)을 지낸 김맹강(金孟鋼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덕근(德根) - 이덕근(李德根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의령 현감(宜寧縣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김일손(金馹孫)의 《탁영집(濯纓集)》 〈금란계록(金蘭契錄)〉에 이름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근(德近) - 은진(恩津)
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.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, 강경산(江景山)․황화산(皇華山)에는 봉수(烽燧)가 있음.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(論山市)에 속함.
충청도>은진 , 지명>행정지명
-
덕기(德器) - 허원(許瑗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합천 군수(陜川郡守)를 지낸 허훈(許薰)의 아들로, 음보(蔭補)로 벼슬하여 의영고 영(義盈庫令) 등을 지냄.
1457~151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기(德基) - 정사신(鄭思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인수(鄭麟壽)의 아들이며, 정홍익(鄭弘翼)의 아버지로, 사섬시 정(司贍寺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덕기(德起) - 정덕기(鄭德起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~이종(理宗) 때의 유학. 참지정사(參知政事) 정성지(鄭性之)의 아들로, 1223년(영종 16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유학
-
덕기(德驥) - 방덕기(房德驥)
조선 전기의 유학. 정황(丁熿)의 《유헌집(遊軒集)》에 송시(送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덕녕(德寧) - 고원(高原)
함경도 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동뷱쪽으로 영흥부(永興府), 남쪽으로 문천(文川)에 접해 있음.
함경도>고원 , 지명>행정지명
-
덕돈홀(德頓忽) - 곡산(谷山)
황해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신덕왕후(神德王后) 강씨(康氏)의 고향.
황해도>곡산 , 지명>행정지명
-
덕량(德良)@현덕량 - 현덕량(玄德良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낸 현덕옹(玄德顒)의 형으로, 영천 군수(永川郡守)를 지냄.
1544~161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덕량(德良) - 이덕량(李德良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조카사위. 이시애(李施愛)의 난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대사헌(大司憲)ㆍ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냄.
1435~148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덕련(德璉) - 응창(應瑒)
중국 후한(後漢)~삼국시대 위(魏) 나라 문제(文帝) 때의 문신ㆍ문인. 후한(後漢) 건안칠자(建安七子)의 한 사람으로, 동생 응거(應璩)와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, 유정(劉楨)과 함께 ‘응유(應劉)’로 불림.
중국>삼국시대ㅣ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덕령(德齡) - 김덕령(金德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김붕섭(金鵬燮)의 아들이며, 성혼(成渾)의 문인(門人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권율(權慄)ㆍ곽재우(郭再祐) 장군과 협력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나, 이몽학(李夢鶴)의 난에 연루되어 옥사함.
1567~159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덕로(德老)@탁도민 - 탁도민(卓道敏)
고려 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광산탁씨(光山卓氏)의 시조인 탁지엽(卓之葉)의 맏아들로, 선종 때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보문각 대제학(寶文閣大提學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로(德老) - 박희재(朴希載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에게 지어 준 자사(字辭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덕로(德老)@정유인 - 정유인(鄭惟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남부 주부(南部主簿)를 지낸 정노겸(鄭勞謙)의 아들이자 우의정(右議政)을 지낸 정지연(鄭芝衍)의 아버지로, 봉상시 정(奉常寺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