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릉(德陵) - 목조(穆祖)
조선 태조(太祖) 이성계(李成桂)의 고조부. 전주(全州)의 토호였으나 가솔과 토착인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(三陟)ㆍ의주(宜州) 및 남경(南京) 알동(斡東)으로 이주하여 큰 세력을 형성함. 태조가 즉위하여 추존함.
?~1274 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의주ㅣ전라도>전주ㅣ강원도>삼척 , 인명>왕실>국왕
-
덕린(德隣) - 신덕린(申德隣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서화가. 본관은 고령(高靈). 해서(楷書)ㆍ초서(草書)ㆍ예서(隷書)에 능하며, 특히 예서의 한 종류인 팔분체(八分體)의 필체가 독특하여 당시 사람들이 덕린체(德隣體)라고 부름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 등과 교유하고, 고려 멸망 후 광주(光州)에서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덕림(德林)@이덕림 - 이덕림(李德林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전리 총랑(典理摠郞)을 지낸 이달존(李達尊)의 아들로, 여흥 군사(驪興郡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림(德林) - 이번(李蕃)@1470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산(德山). 이운달(李云達)의 아들로, 호조 참의(戶曹參議)ㆍ사간원 대사간(司諫院大司諫) 등을 지냄.
1470~152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림군(德林君) - 이자(李孜)@이순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손자이며, 정양군(定陽君) 이순(李淳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림수(德林守)@이희윤 - 이희윤(李禧胤)
조선 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손자인 인성부정(仁城副正) 이경(李儆)의 아들로, 덕림수(德林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림수(德林守) - 이순(李諄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(謹寧君) 이농(李襛)의 증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림정(德林正) - 이자(李孜)@이순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손자이며, 정양군(定陽君) 이순(李淳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망(德望) - 김덕망(金德望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구사맹(具思孟)의 사위. 영동 현감(永同縣監)ㆍ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역임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명(德明)@구양철 - 구양철(歐陽澈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우국지사(憂國之士)로 진동(陳東)과 더불어 대신(大臣)을 비난하는 상소를 올려 직언(直言)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함.
1091~112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명(德明)@요덕명 - 요덕명(廖德明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ㆍ문신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보전현(莆田縣)의 지사(知事)가 되어 풍속을 교화시키고 호강(豪强)을 억누르는 데 힘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명(德明) - 박사희(朴士熹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함양(咸陽)으로, 훈도(訓導) 박형(朴馨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에만 전념함.
1508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덕명(德明)@고요 - 고요(皐陶)
중국 고대 순(舜) 임금의 신하. 법리(法理)에 밝아서 형벌을 제정하고 옥간(獄間)을 만들었다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덕묘(德廟) - 덕종(德宗)@고려
고려 제9대 왕. 재위 1031~1034. 천리장성(千里長城)을 쌓았고, 현종(顯宗)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.
1016~1034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덕무(德懋)@김덕무 - 김덕무(金德懋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ㆍ문신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화를 입은 동천(東泉) 김식(金湜)의 아들. 천거로 현릉 참봉(顯陵參奉)을 지냈으며, 〈가소음(可笑吟)〉이란 시(詩)가 전함.
1512~156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무(德懋) - 장무(章懋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남경 국자감 좨주(南京國子監祭酒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풍산어록(楓山語錄)》ㆍ《풍산집(楓山集)》 등이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무(德懋)@이덕무 - 이덕무(李德懋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실학자. 서얼 출신으로, 박제가(朴齊家)ㆍ유득공(柳得恭)ㆍ이서구(李書九) 등과 함께 《건연집(巾衍集)》이라는 사가시집(四家詩集)을 내어 문명을 떨침. 명(明)과 청(淸)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.
1741~17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덕물(德勿) - 덕수(德水)
경기도 개풍(開豊)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덕수이씨(德水李氏)ㆍ덕수장씨(德水張氏)의 관향(貫鄕)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, 고려 문종(文宗) 때 12년에 걸쳐 지은 국립사찰인 흥왕사(興王寺) 터가 남아 있음.
경기도>풍덕 , 지명>행정지명
-
덕민(德民) - 김덕민(金德民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김가기(金可幾)의 아들. 1603년(선조 36) 김가기가 수집하여 간행하고자 했던 성운(成運)의 문집인 《대곡집(大谷集)》을 간행함.
1570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문사>유학
-
덕배(德培) - 이덕배(李德培)
조선 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달충(李達衷)의 후손으로, 그의 《제정집(霽亭集)》을 중간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