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로(德老)@박덕로 - 박덕로(朴德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박환(朴渙)의 아들이며, 북평사(北評事) 박률(朴栗)의 아버지로, 습독관(習讀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로(德老)@정순인 - 정순인(鄭純仁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청도 군수(淸道郡守) 정찬우(鄭纘禹)의 아들이며, 진사(進士) 정경(鄭褧)의 아버지로, 아산 현감(牙山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로(德魯) - 정광(程廣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ㆍ학자. 본래 중국 사람으로, 정이(程頤)의 후손. 공민왕(恭愍王) 때 전중판시사(殿中判寺事)를 지냈고, 정몽주(鄭夢周)ㆍ길재(吉再) 등과 교유하며 도학을 연구함. 고려가 망할 것을 예견하고 경기도 광주(廣州)에 낙향하여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ㅣ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록(德祿) - 홍덕록(洪德祿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부계(缶溪). 용양위 부사과(龍驤衛副司果) 홍경삼(洪景參)의 아들이며, 대사간(大司諫) 홍호(洪鎬)의 아버지.
1531~160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문사>유학
-
덕룡(德龍)@강덕룡 - 강덕룡(姜德龍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강심(姜深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김성일(金誠一)과 정기룡(鄭起龍)을 도와 공을 세워 함창 현령(咸昌縣令) 등을 지내고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됨.
1560~162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덕룡(德龍)@유덕룡 - 유덕룡(柳德龍)
조선 후기의 유학. 하항(河沆)의 《각재집(覺齋集)》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.
1563~164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문사>유학
-
덕룡(德龍) - 김덕룡(金德龍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관직은 봉상시 주부(奉常寺主簿) 등을 거쳐 대사헌(大司憲)에 이르렀음
151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릉(德陵)@충선왕 - 충선왕(忠宣王)
고려 제26대 왕. 재위 1298, 1308~1313. 충렬왕(忠烈王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(齊國大長公主).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, 원(元) 나라 연경(燕京)에 만권당(萬卷堂)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.
1275~132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덕릉(德陵) - 목조(穆祖)
조선 태조(太祖) 이성계(李成桂)의 고조부. 전주(全州)의 토호였으나 가솔과 토착인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(三陟)ㆍ의주(宜州) 및 남경(南京) 알동(斡東)으로 이주하여 큰 세력을 형성함. 태조가 즉위하여 추존함.
?~1274 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의주ㅣ전라도>전주ㅣ강원도>삼척 , 인명>왕실>국왕
-
덕린(德隣) - 신덕린(申德隣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서화가. 본관은 고령(高靈). 해서(楷書)ㆍ초서(草書)ㆍ예서(隷書)에 능하며, 특히 예서의 한 종류인 팔분체(八分體)의 필체가 독특하여 당시 사람들이 덕린체(德隣體)라고 부름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 등과 교유하고, 고려 멸망 후 광주(光州)에서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덕림(德林)@이덕림 - 이덕림(李德林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전리 총랑(典理摠郞)을 지낸 이달존(李達尊)의 아들로, 여흥 군사(驪興郡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림(德林) - 이번(李蕃)@1470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산(德山). 이운달(李云達)의 아들로, 호조 참의(戶曹參議)ㆍ사간원 대사간(司諫院大司諫) 등을 지냄.
1470~152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림군(德林君) - 이자(李孜)@이순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손자이며, 정양군(定陽君) 이순(李淳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림수(德林守)@이희윤 - 이희윤(李禧胤)
조선 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손자인 인성부정(仁城副正) 이경(李儆)의 아들로, 덕림수(德林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림수(德林守) - 이순(李諄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(謹寧君) 이농(李襛)의 증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림정(德林正) - 이자(李孜)@이순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손자이며, 정양군(定陽君) 이순(李淳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망(德望) - 김덕망(金德望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구사맹(具思孟)의 사위. 영동 현감(永同縣監)ㆍ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역임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명(德明)@구양철 - 구양철(歐陽澈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우국지사(憂國之士)로 진동(陳東)과 더불어 대신(大臣)을 비난하는 상소를 올려 직언(直言)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함.
1091~112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명(德明)@요덕명 - 요덕명(廖德明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ㆍ문신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보전현(莆田縣)의 지사(知事)가 되어 풍속을 교화시키고 호강(豪强)을 억누르는 데 힘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명(德明) - 박사희(朴士熹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함양(咸陽)으로, 훈도(訓導) 박형(朴馨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에만 전념함.
1508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