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병(德柄) - 문극겸(文克謙)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으로, 집현전 태학사(集賢殿太學士) 문공유(文公裕)의 아들. 중서시랑 평장사(中書侍郞平章事) 등을 지내고, 명종의 묘정(廟庭)에 배향됨.
1122~118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보(德保) - 홍대용(洪大容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양(南陽). 북학파(北學派) 실학자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(朴趾源)ㆍ박제가(朴齊家) 등과 교유하고, 지전설(地轉說)을 주장하는 등 조선 후기 과학사상의 발전에 공헌함.
1731~178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보(德父)@조명성 - 조명성(趙明誠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금석학자ㆍ장서가(藏書家). 문인 이청조(李淸照)의 남편으로, 부인과 함께 구양수(歐陽脩)의 《집고록(集古錄)》을 본떠《금석록(金石錄)》을 완성함.
1081~112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덕보(德父) - 우선언(禹善言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. 본관은 단양(丹陽). 노자(老子)ㆍ장자(莊子) 등의 고고한 학풍을 좋아하여 권세와 명예를 천하게 보는 청담파(淸談派)의 한 사람으로, 자신을 죽림칠현(竹林七賢)에 비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덕보(德甫)@송일 - 송일(宋馹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사성(司成) 송승희(宋承禧)의 아들로, 1595년(선조 28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57~164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보(德甫)@이희득 - 이희득(李希得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하동부령(河東副令) 이유(李裕)의 아들이자 지경연사(知經筵事)를 지낸 이희검(李希儉)의 동생으로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낸 뒤 은퇴하여 기로소(耆老所)에 들어감.
1525~160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보(德甫) - 권산해(權山海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성삼문(成三問)ㆍ박팽년(朴彭年) 등이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보(德甫)@김무 - 김무(金楙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김징(金澄)의 아들. 1718년(숙종 44) 금산 태수(金山太守)가 되어 조위(曺偉)의 문집인 《매계집(梅溪集)》을 간행함.
1655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보(德甫)@안팽명 - 안팽명(安彭命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안종생(安從生)의 아들로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ㆍ집의(執義)ㆍ사간원 사간(司諫院司諫) 등을 지냄으로써 주로 대성(臺省)에서 명성을 떨침.
1447~149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보(德甫)@조명성 - 조명성(趙明誠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금석학자ㆍ장서가(藏書家). 문인 이청조(李淸照)의 남편으로, 부인과 함께 구양수(歐陽脩)의 《집고록(集古錄)》을 본떠《금석록(金石錄)》을 완성함.
1081~112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덕보(德輔)@홍덕보 - 홍덕보(洪德輔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유룡(洪有龍)의 아들이며 익산부원군(益山府院君) 홍심(洪深)의 아버지로, 손자인 익성부원군(益城府院君) 홍응(洪應)의 공으로 인해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덕보(德輔) - 민세량(閔世良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동부승지(同副承旨)를 역임했으며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로 천추사(千秋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음.
1497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보(德輔)@왕덕보 - 왕덕보(汪德輔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덕봉(德峯) - 이경(李璥)@조선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평(咸平). 이만영(李萬榮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진주 목사(晉州牧使)로 있다가 병사함.
1538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봉(德鳳) - 민덕봉(閔德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을 지낸 민우필(閔友弼)의 아들. 1573년(선조 6) 명(明) 나라 사신을 영접하기 위하여 나갔다가 객사(客舍)에서 죽음.
1514~157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암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부(德夫)@유형원 - 유형원(柳馨遠)
조선 효종(孝宗)~현종(顯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문화(文化). 이원진(李元鎭)과 김세렴(金世濂)에게 수학함. 실학(實學)을 학문으로 정립하고, 중농사상(重農思想)에 기반을 둔 《반계수록(磻溪隨錄)》을 저술함.
1622~167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부안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덕부(德夫)@이희득 - 이희득(李希得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하동부령(河東副令) 이유(李裕)의 아들이자 지경연사(知經筵事)를 지낸 이희검(李希儉)의 동생으로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낸 뒤 은퇴하여 기로소(耆老所)에 들어감.
1525~160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부(德夫) - 양노(梁櫨)
조선 전기의 문신. 관직은 찰방(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부(德夫)@여유길 - 여유길(呂裕吉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여이징(呂爾徵)의 아버지로, 임진왜란 때 소실된 실록(實錄)의 재간(再刊)에 참여하였으며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이름. 저서에 《춘강집(春江集)》이 있음.
1558~161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부(德夫)@우선언 - 우선언(禹善言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. 본관은 단양(丹陽). 노자(老子)ㆍ장자(莊子) 등의 고고한 학풍을 좋아하여 권세와 명예를 천하게 보는 청담파(淸談派)의 한 사람으로, 자신을 죽림칠현(竹林七賢)에 비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