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부(德夫)@신화국 - 신화국(申華國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평산(平山). 아들 신잡(申磼)이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자 평주부원군(平州府院君)에 추숭(追崇)됨.
1517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덕부(德符)@양덕부 - 양덕부(梁德符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정언(正言) 성자량(成自諒)의 사위이며, 양여창(梁汝昌)의 아버지로, 별시위(別侍衛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무신
-
덕부(德符)@최덕부 - 최덕부(崔德符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. 시인 진여의(陳與義)의 스승으로 〈잠심재시(潛心齋詩)〉ㆍ〈지거헌시(止遽軒詩)〉 등의 작품이 있음.
1058~112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덕부(德符)@이덕부 - 이덕부(李德符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성(安城). 충주 목사(忠州牧使) 성호선(成好善)의 장인으로, 사직(司直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안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부(德符) - 심덕부(沈德符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고려 말의 정치제도 개혁과 왜구의 토벌에 공을 세우고, 조선 건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함.
1328~140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덕붕(德鵬) - 김덕붕(金德鵬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수성금화사 제검(修城禁火司提檢)을 지낸 김해(金瀣)의 아들. 청도 군수(淸道郡守)를 지냈으며,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권문해(權文海)가 지은 만시(輓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비(德妃) - 명덕태후(明德太后)
고려 제27대 충숙왕(忠肅王)의 비. 본관은 남양(南陽). 남양부원군(南陽府院君) 홍규(洪奎)의 딸로, 충혜왕(忠惠王)과 공민왕(恭愍王)을 낳았으며, 공민왕이 즉위하여 대비(大妃)에 오름.
1298~138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ㅣ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덕산(德山)@최덕산 - 최덕산(崔德山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단계(丹溪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최준(崔濬)의 아버지로, 용양위 부호군(龍驤衛副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관인>무신
-
덕산(德山)@이명준 - 이명준(李命俊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청강(淸江) 이제신(李濟臣)의 아들. 광해군(光海君)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(仁祖反正)을 거쳐 복직되어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
1572~163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산(德山)@조식 - 조식(曺植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(李滉)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.
1501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ㅣ경상도>삼가ㅣ경상도>김해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덕산(德山) - 선감(宣鑑)
중국 당(唐) 나라의 선승(禪僧). 용담(龍潭) 숭신(崇信)의 제자.《금강경(金剛經)》에 정통하였으며 엄격한 수행으로 유명함. 제자를 가르칠 때 몽둥이를 잘 썼으므로 ‘임제(臨濟)의 할(喝)’이라는 말이 생김.
782~86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덕산공(德山公) - 이명준(李命俊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청강(淸江) 이제신(李濟臣)의 아들. 광해군(光海君)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(仁祖反正)을 거쳐 복직되어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
1572~163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산령(德山令) - 이달정(李達貞)
조선 전기의 종친. 졸곡(卒哭) 후에 창기(娼妓)들과 간음한 죄로 고신(告身)을 빼앗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산서원(德山書院) - 덕천서원(德川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진주(晉州)에 건립한 서원. 조식(曺植)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건립함. 1609년(광해군 1)에 사액되었으며, 조식ㆍ최영경(崔永慶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(山淸郡)에 속함.
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덕산원사(德山院祠) - 덕천서원(德川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진주(晉州)에 건립한 서원. 조식(曺植)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건립함. 1609년(광해군 1)에 사액되었으며, 조식ㆍ최영경(崔永慶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(山淸郡)에 속함.
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덕상(德相) - 송덕상(宋德相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은진(恩津). 교관 송무원(宋婺源)의 아들이며, 송시열(宋時烈)의 현손. 정조 때 산림(山林)의 중심인물로 천거되어 활약하였으나, 홍국영(洪國榮)의 실각 후 정감록 사건에 연루되어 노론벽파(老論辟派)로 몰려 죽음.
?~178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생(德生) - 수도군(守道君)
조선 제2대 정종(定宗)의 일곱 번째 서자. 숙의윤씨(淑儀尹氏)의 소생으로, 관직을 삭존(削尊)당한 뒤 사후에 신원되어 영종정경(領宗正卿)의 벼슬과 군(君)에 추봉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덕서(德瑞) - 강덕서(姜德瑞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한산 군수(韓山郡守)로 있을 때 이몽학(李夢鶴)의 난을 토벌함. 덕원 부사(德源府使)ㆍ제용감 정(濟用監正)을 지냄.
1540~161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성(德成) - 탁도집(卓道集)
고려 전기의 문신. 광산탁씨(光山卓氏)의 시조인 탁지엽(卓之葉)의 둘째 아들로,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이부 상서(吏部尙書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성(德盛) - 정덕성(丁德盛)
중국 당(唐) 나라 문종(文宗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군국사(軍國事)로 직간(直諫)을 하다가 압해도(押海島)에 유배(流配)되어 우리나라 정씨(丁氏)의 시조가 됨.
중국>당 , 중국ㅣ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