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성군(德城君) - 기진(奇進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기묘명현(己卯名賢) 기준(奇遵)의 형이고, 기대승(奇大升)의 아버지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아우 기준이 죽자 광주(光州)에 은거하면서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.
1487~155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성부원군(德城府院君) - 기철(奇轍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권신(權臣). 본관은 행주(幸州). 누이동생인 기황후(奇皇后)로 인해 덕성부원군(德城府院君)에 봉해졌으나 반란을 꾀하다가 주살됨.
?~135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성서원(德城書院) - 예림서원(禮林書院)
조선 명종(明宗) 때 경상도 밀양(密陽)에 건립한 서원. 원래 이름은 덕성서원(德城書院)인데,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복원하고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면서 예림서원(禮林書院)으로 개칭함. 김종직(金宗直)ㆍ박한주(朴漢柱) 등을 배향함.
156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덕소(德昭) - 한원진(韓元震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청주(淸州). 권상하(權尙夏)의 문인으로, 이간(李柬)과 인물성동이론(人物性同異論)의 논쟁을 벌여 인물성이론(人物性異論)을 주장함. 영릉 참봉(寧陵參奉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남당집(南塘集)》이 있음.
1682~175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결성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소(德紹) - 김석윤(金錫胤)
조선 전기의 문신. 풍덕(豊德)의 수령을 역임했으며, 심의(沈義)와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수(德叟)@조태구 - 조태구(趙泰耉)
조선 숙종(肅宗)~경종(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로, 우의정 조사석(趙師錫)의 아들. 소론의 영수로 1721년(경종 1)에 신임사화(辛壬士禍)를 일으켜 김창집(金昌集) 등 노론 4대신을 역모죄로 몰아 사사(死賜)하게 한 뒤 영의정에 오름.
1660~172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수(德叟) - 신윤조(辛潤祖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병조 판서(兵曹判書)를 지낸 신인손(辛引孫)의 아들로, 제용감 첨정(濟用監僉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수(德叟)@김매순 - 김매순(金邁淳)
조선 정조(正祖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거쳐 강화부 유수(江華府留守) 등을 지냈고, 당대의 문장가로 홍석주(洪奭周)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아 여한십대가(麗韓十大家)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성리학에 뛰어남.
1776~184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수(德壽)@이덕수 - 이덕수(李德壽)
조선 후기의 종친. 부안군(扶安君) 이석수(李碩壽)와 함께 임진왜란 때 훼손된 선릉(宣陵)ㆍ정릉(靖陵)을 봉심(奉審)하는 데 참여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수(德壽) - 안맹담(安孟耼)
조선 세종(世宗)의 부마ㆍ서예가. 본관은 죽산(竹山). 함길도 관찰사(咸吉道觀察使) 안망지(安望之)의 아들로, 세종의 딸 정의공주(貞懿公主)와 혼인함. 초서(草書)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, 음률(音律)ㆍ약물(藥物)에도 밝음.
1415~146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인척
-
덕수(德秀)@김덕수 - 김덕수(金德秀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효우(孝友)가 출천(出天)했으며, 문장이 뛰어났음. 아버지 김식(金湜) 문하에서 신명인(申命仁)ㆍ오희안(吳希顔) 등과 함께 수학했으며, 문하에서 이언적(李彦迪)ㆍ윤근수(尹根壽) 등이 배출되었음.
1500~155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수(德秀) - 김경원(金景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충무위 상호군(忠武衛上護軍)을 지낸 김찬(金巑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면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수(德秀)@김응생 - 김응생(金應生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황(李滉)의 문인. 자양산(紫陽山) 아래 서숙(書塾)을 짓고 후배의 교육에 전력하였고, 포은(圃隱) 정몽주(鄭夢周)를 배향한 임고서원(臨皐書院)의 건립을 주도함.
1496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학자
-
덕수(德秀)@원덕수 - 원덕수(元德秀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어려서부터 홀어머니에게 효를 다하였으며, 명리(名利)에 뜻이 없고 고상하여 절개가 있다는 칭송을 받음.
696~75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수(德秀)@진덕수 - 진덕수(眞德秀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~이종(理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참지정사(參知政事)를 지내고, 주희(朱熹)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을 주장함. 저서에 《대학연의(大學衍義)》ㆍ《서산집(西山集)》이 있음.
1178~12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수(德秀)@권덕수 - 권덕수(權德秀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공주 목사(公州牧使)를 지낸 권박(權博)의 아들. 1546년(명종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수(德秀)@최덕수 - 최덕수(崔德秀)
조선 전기의 문신. 이해(李瀣)의 사위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. 별좌(別座)ㆍ현감(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수(德粹)@유덕수 - 유덕수(柳德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유문옥(柳文沃)의 아들로, 1560년(명종 15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였으며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수(德粹) - 등린(滕璘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에게 수학했으며, 관직은 조봉대부(朝奉大夫)에 이름. 저서에는 《계재유고(溪齋類稿)》가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수부원군(德水府院君)@장운익 - 장운익(張雲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로, 우의정(右議政) 장유(張維)의 아버지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(扈從)하고, 정유재란 때 접반사(接伴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 제독 마귀(麻貴)를 영접한 공이 있어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되고 좌찬성(左贊成)에 증직됨.
1561~159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