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여(德輿) - 무제(武帝)@남북조(송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제1대 황제. 재위 420~422. 동진(東晉)의 공제(恭帝)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송 나라를 건국함.
363~42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덕여(德輿)@이휘재 - 이휘재(李彙載)
조선 순조(純祖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경산 현령(慶山 縣令)으로 있으면서 문회재(文會齋)를 창건하여 문풍(文風)을 진작시키고, 병인양요(丙寅洋擾) 때 많은 공을 세움.
1795~187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연(德淵) - 이덕연(李德淵)
조선 전기의 문인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종준(李宗準)의 아들이며 이윤검(李胤儉)의 아버지로, 참봉(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벼슬하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문인
-
덕연(德演) - 홍덕연(洪德演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이평(洪以平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조광조(趙光祖)와 친밀하였으며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93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열(德悅) - 이덕열(李德悅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준경(李浚慶)의 아들로, 이유경(李有慶)에게 출계(出系)함. 승지(承旨)를 지냈으며, 저서로 임진왜란 중에 작성한 《양호당일기(養浩堂日記)》가 있음.
1534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영(德英) - 적인걸(狄仁傑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. 측천무후(則天武后)가 이씨(李氏)를 제거하고 무씨(武氏)의 종묘(宗廟)를 세우자 중종(中宗)을 받들어 당실(唐室)을 회복함.
607~70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온(德溫) - 설선(薛瑄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정주학파(程朱學派)의 이학(理學)을 계승하였으며, 이부우시랑(吏部右侍郞) 겸 한림학사(翰林學士) 등을 역임함. 저서에 《설문청집(薛文淸集)》이 있음.
1389~146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온(德溫)@이경 - 이경(李璥)@조선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평(咸平). 이만영(李萬榮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진주 목사(晉州牧使)로 있다가 병사함.
1538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옹(德翁)@박덕옹 - 박덕옹(朴德翁)
조선 전기의 유학. 문장공(文莊公) 신응시(辛應時)와 교유했는데, 괴산(槐山)에서 만나 주고받은 시가 《백록유고(白麓遺稿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옹(德翁) - 이희보(李希輔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으로, 사옹원 봉사(司饔院奉事)를 지낸 이극문(李克文)의 아들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내고, 문장에도 능함.
1473~154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옹(德翁)@박인로 - 박인로(朴仁老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ㆍ문인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우고 수문장(守門將) 등을 지냄. 가사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정철(鄭澈)ㆍ윤선도(尹善道)와 함께 조선의 3대 시가인(詩歌人)으로 불림.
1561~164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무신
-
덕옹(德翁)@상득용 - 상득용(尙得容)
조선 후기의 무신. 본관은 목천(木川). 장단(長湍) 출신. 영의정 상진(尙震)의 후손이며, 상동기(尙東耆)의 아들로, 화량진 첨사(花梁鎭僉使) 등을 지냄. 병서와 경사(經史)에 밝고, 천문ㆍ주수(籌數)에 능하였으며, 저서로 《성루합편(星漏合編)》등이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장단 , 인명>관인>무신
-
덕옹(德顒)@정덕옹 - 정덕옹(鄭德顒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. 박여량(朴汝樑)ㆍ박경실(朴景實) 등과 절친하게 지냈으며, 그 내용이 정인홍(鄭仁弘)의 《내암집(來庵集)》〈제박지평여량문(祭朴持平汝樑文)〉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옹(德顒) - 현덕옹(玄德顒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선무랑(宣務郞)을 지낸 현기(玄琦)의 아들이자, 영천 군수(永川郡守) 현덕량(玄德良)의 동생으로,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완군(德完君) - 철종(哲宗)@조선
조선 제25대 국왕. 재위 1849~1863. 정조(正祖)의 동생 은언군(恩彦君)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(全溪大院君) 이광(李㼅)의 셋째 아들. 헌종(憲宗)의 뒤를 이어 즉위함.
1831~186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강화ㅣ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덕왕(德王) - 덕종(德宗)@고려
고려 제9대 왕. 재위 1031~1034. 천리장성(千里長城)을 쌓았고, 현종(顯宗)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.
1016~1034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덕요(德曜) - 맹광(孟光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열녀(烈女). 양홍(梁鴻)의 아내로,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 치마를 입는 등 검소하였으며, 남편을 지성으로 섬김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열녀
-
덕요(德耀) - 윤황(尹煌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윤창세(尹昌世)의 아들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내고, 정묘호란(丁卯胡亂)과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척화(斥和)를 주장함.
1571~163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용(德勇) - 조임도(趙任道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장현광(張顯光)의 문인으로, 이황(李滉)의 문묘 종사(文廟從祀)를 반대하는 정인홍(鄭仁弘)을 규탄함.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 천거로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지냄.
1585~166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칠원 , 인명>문사>학자
-
덕용(德容)@유함 - 유함(兪涵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기계(杞溪). 호조 판서(戶曹判書) 유강(兪絳)의 아들로, 유진(兪縝)에게 출계(出系)하였으며, 1552년(명종 7)에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