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옹(德顒)@정덕옹 - 정덕옹(鄭德顒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. 박여량(朴汝樑)ㆍ박경실(朴景實) 등과 절친하게 지냈으며, 그 내용이 정인홍(鄭仁弘)의 《내암집(來庵集)》〈제박지평여량문(祭朴持平汝樑文)〉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옹(德顒) - 현덕옹(玄德顒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선무랑(宣務郞)을 지낸 현기(玄琦)의 아들이자, 영천 군수(永川郡守) 현덕량(玄德良)의 동생으로,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완군(德完君) - 철종(哲宗)@조선
조선 제25대 국왕. 재위 1849~1863. 정조(正祖)의 동생 은언군(恩彦君)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(全溪大院君) 이광(李㼅)의 셋째 아들. 헌종(憲宗)의 뒤를 이어 즉위함.
1831~186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강화ㅣ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덕왕(德王) - 덕종(德宗)@고려
고려 제9대 왕. 재위 1031~1034. 천리장성(千里長城)을 쌓았고, 현종(顯宗)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.
1016~1034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덕요(德曜) - 맹광(孟光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열녀(烈女). 양홍(梁鴻)의 아내로,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 치마를 입는 등 검소하였으며, 남편을 지성으로 섬김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열녀
-
덕요(德耀) - 윤황(尹煌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윤창세(尹昌世)의 아들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내고, 정묘호란(丁卯胡亂)과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척화(斥和)를 주장함.
1571~163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용(德勇) - 조임도(趙任道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장현광(張顯光)의 문인으로, 이황(李滉)의 문묘 종사(文廟從祀)를 반대하는 정인홍(鄭仁弘)을 규탄함.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 천거로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지냄.
1585~166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칠원 , 인명>문사>학자
-
덕용(德容)@유함 - 유함(兪涵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기계(杞溪). 호조 판서(戶曹判書) 유강(兪絳)의 아들로, 유진(兪縝)에게 출계(出系)하였으며, 1552년(명종 7)에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용(德容) - 김범(金範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학행(學行)으로 천거되어 옥과 현감(玉果縣監)을 지내고, 만년에 주자학에 전심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.
1512~15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
-
덕용(德容)@주인궤 - 주인궤(朱仁軌)
중국 당(唐) 나라의 효자. 벼슬을 사양하고 부모를 봉양하고 살면서 자식들에게는 일생 동안 남에게 밭두둑을 양보해도 1묘(畝)의 밭도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고 훈계하였음. 주희(朱熹)의 〈무원다원주씨세보서(婺源茶院朱氏世譜序)〉에 의하면 금릉 주씨(金陵朱氏)의 시조라고 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덕용(德用)@나덕용 - 나덕용(羅德用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금성(錦城).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 나무춘(羅茂春)의 아버지로 장악원 정(掌樂院正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용(德用) - 심명세(沈命世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 청운군(靑雲君)에 봉해졌으며, 이괄(李适)의 난과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인조를 호종함.
1587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우(德佑) - 민순량(閔純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봉선전 참봉(奉先殿參奉) 민구(閔球)의 아들이며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민준(閔濬)의 아버지로, 1528년(중종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개령 현감(開寧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우(德優)@기대유 - 기대유(奇大有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기효간(奇孝諫)ㆍ기효근(奇孝謹)의 아버지. 고봉(高峰) 기대승(奇大升)의 사촌이며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함. 진용교위(進勇校尉)에 올랐고 고흥군(高興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무신
-
덕우(德優) - 신영희(辛永禧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영산(靈山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사마시(司馬試)에 합격했으나 직산(稷山)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.
1442~151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직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덕우(德祐) - 공종(恭宗)
중국 송(宋) 나라 제16대 황제. 재위 1274~1276. 몽고(蒙古)의 침략 때 항복하고 잡혀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덕우제(德祐帝) - 공종(恭宗)
중국 송(宋) 나라 제16대 황제. 재위 1274~1276. 몽고(蒙古)의 침략 때 항복하고 잡혀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덕원(德元) - 나덕원(羅德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금성(錦城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(義兵)을 모집하여 명(明) 나라 제독(提督) 마귀(麻貴)를 도와 왜적을 격퇴함. 벼슬은 함안 현감(咸安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원(德原) - 영해(寧海)
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. 서쪽으로 진보(眞寶),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(平海)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(盈德郡)에 속함.
경상도>영해 , 지명>행정지명
-
덕원(德源)@문승수 - 문승수(文承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개령(開寧). 문세욱(文世郁)의 아들로, 1573년(선조 6) 식년시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을 지냄.
1525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옥구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