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용(德容) - 김범(金範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학행(學行)으로 천거되어 옥과 현감(玉果縣監)을 지내고, 만년에 주자학에 전심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.
1512~15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
-
덕용(德容)@주인궤 - 주인궤(朱仁軌)
중국 당(唐) 나라의 효자. 벼슬을 사양하고 부모를 봉양하고 살면서 자식들에게는 일생 동안 남에게 밭두둑을 양보해도 1묘(畝)의 밭도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고 훈계하였음. 주희(朱熹)의 〈무원다원주씨세보서(婺源茶院朱氏世譜序)〉에 의하면 금릉 주씨(金陵朱氏)의 시조라고 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덕용(德用)@나덕용 - 나덕용(羅德用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금성(錦城).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 나무춘(羅茂春)의 아버지로 장악원 정(掌樂院正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용(德用) - 심명세(沈命世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 청운군(靑雲君)에 봉해졌으며, 이괄(李适)의 난과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인조를 호종함.
1587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우(德佑) - 민순량(閔純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봉선전 참봉(奉先殿參奉) 민구(閔球)의 아들이며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민준(閔濬)의 아버지로, 1528년(중종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개령 현감(開寧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우(德優)@기대유 - 기대유(奇大有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기효간(奇孝諫)ㆍ기효근(奇孝謹)의 아버지. 고봉(高峰) 기대승(奇大升)의 사촌이며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함. 진용교위(進勇校尉)에 올랐고 고흥군(高興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무신
-
덕우(德優) - 신영희(辛永禧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영산(靈山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사마시(司馬試)에 합격했으나 직산(稷山)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.
1442~151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직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덕우(德祐) - 공종(恭宗)
중국 송(宋) 나라 제16대 황제. 재위 1274~1276. 몽고(蒙古)의 침략 때 항복하고 잡혀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덕우제(德祐帝) - 공종(恭宗)
중국 송(宋) 나라 제16대 황제. 재위 1274~1276. 몽고(蒙古)의 침략 때 항복하고 잡혀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덕원(德元) - 나덕원(羅德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금성(錦城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(義兵)을 모집하여 명(明) 나라 제독(提督) 마귀(麻貴)를 도와 왜적을 격퇴함. 벼슬은 함안 현감(咸安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원(德原) - 영해(寧海)
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. 서쪽으로 진보(眞寶),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(平海)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(盈德郡)에 속함.
경상도>영해 , 지명>행정지명
-
덕원(德源)@문승수 - 문승수(文承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개령(開寧). 문세욱(文世郁)의 아들로, 1573년(선조 6) 식년시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을 지냄.
1525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옥구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원(德源)@이수인 - 이수인(李守仁)@이옥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손자이며, 옥천군(玉泉君) 이옥(李沃)의 아들로, 봉림수(鳳林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원(德遠)@정천령 - 정천령(鄭千齡)
조선 전기의 유학.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《모재집(慕齋集》에 권은(權殷)ㆍ박수춘(朴壽椿)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(字)에 대한 〈자설(字說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원(德遠) - 장준(張浚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무신. 남헌(南軒) 장식(張栻)의 아버지로, 고종(高宗) 때 선무사(宣撫使)로 나라의 회복에 뜻을 두고 금(金) 나라의 세력을 막다가 진회(秦檜)에 의해 폄적(貶謫)됨.
1097~116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덕원(德遠)@정인홍 - 정인홍(鄭仁弘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서산(瑞山). 조식(曺植)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.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(大北)을 영도하여 계축옥사(癸丑獄事)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참형됨.
1536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원군(德原君)@기대승 - 기대승(奇大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(四端七情)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.
1527~157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원군(德原君) - 김창(金敞)
고려 후기의 문신.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의 이종사촌으로, 덕원군(德原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원부수(德源副守) - 이팽복(李彭福)
조선 전기의 종실. 영성수(寧城守) 이경생(李敬生)의 첫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유(德孺) - 이연종(李衍宗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가리((加利). 이승휴(李承休)의 아들로, 감찰대부(監察大夫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부친의 문집인 《동안거사집(動安居士集)》을 초간(初刊)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