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원(德源)@이수인 - 이수인(李守仁)@이옥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손자이며, 옥천군(玉泉君) 이옥(李沃)의 아들로, 봉림수(鳳林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원(德遠)@정천령 - 정천령(鄭千齡)
조선 전기의 유학.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《모재집(慕齋集》에 권은(權殷)ㆍ박수춘(朴壽椿)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(字)에 대한 〈자설(字說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원(德遠) - 장준(張浚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무신. 남헌(南軒) 장식(張栻)의 아버지로, 고종(高宗) 때 선무사(宣撫使)로 나라의 회복에 뜻을 두고 금(金) 나라의 세력을 막다가 진회(秦檜)에 의해 폄적(貶謫)됨.
1097~116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덕원(德遠)@정인홍 - 정인홍(鄭仁弘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서산(瑞山). 조식(曺植)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.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(大北)을 영도하여 계축옥사(癸丑獄事)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참형됨.
1536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원군(德原君)@기대승 - 기대승(奇大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(四端七情)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.
1527~157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원군(德原君) - 김창(金敞)
고려 후기의 문신.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의 이종사촌으로, 덕원군(德原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원부수(德源副守) - 이팽복(李彭福)
조선 전기의 종실. 영성수(寧城守) 이경생(李敬生)의 첫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유(德孺) - 이연종(李衍宗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가리((加利). 이승휴(李承休)의 아들로, 감찰대부(監察大夫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부친의 문집인 《동안거사집(動安居士集)》을 초간(初刊)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유(德裕)@김기후 - 김기후(金基厚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순천(順天). 김윤안(金允安)의 아들로, 숙부(叔父)인 김윤문(金允文)에게 출계(出系)함. 1627년(인조 5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82~163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유(德裕)@임덕유 - 임덕유(任德裕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으로, 서하부원군(西河府院君) 임자송(任子松)의 아들. 판도판서(版圖判書)를 지내고 풍산군(豊山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유(德裕)@권덕유 - 권덕유(權德裕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공주 목사(公州牧使)를 지낸 권박(權博)의 아들이며, 이조 판서(吏曹判書)를 지낸 권극례(權克禮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유(德裕)@조덕유 - 조덕유(趙德裕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. 조선 개국공신인 조준(趙浚)과 조견(趙狷)의 아버지로, 판도판서(版圖判書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유(德裕)@이덕유 - 이덕유(李德裕)
중국 당(唐) 나라 목종(穆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. 아버지 이길보(李吉甫)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(牛僧孺)ㆍ이종민(李宗閔)의 당파와 40여 년간 '우이당쟁(牛李黨爭)'을 벌임.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, 폐불(廢佛)을 단행함.
787~84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유(德裕) - 손영제(孫英濟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많은 사재를 희사하여 도산서원(陶山書院) 건립에 크게 이바지함. 저서로 《추천집(鄒川集)》이 있음.
1521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윤(德潤)@나덕윤 - 나덕윤(羅德潤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(義禁府經歷)ㆍ감찰(監察) 등을 지냄.
1557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윤(德潤)@이덕윤 - 이덕윤(李德潤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으로, 좌찬성(左贊成) 이파(李坡)의 아들이며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 이청(李淸)의 아버지. 상서원 부직장(尙瑞院副直長) 등을 지냈으며, 병조 참판 겸 동지의금부사(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윤(德潤) - 손부(孫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해(平海). 의정부 우찬성(議政府右贊成) 손순효(孫舜孝)의 아들이며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손주(孫澍)의 아우로, 1522년(중종 1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군수(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윤(德潤)@권덕윤 - 권덕윤(權德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의 종형(從兄)으로 단양 훈도(丹陽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윤(德潤)@홍덕윤 - 홍덕윤(洪德潤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 홍이평(洪以平)의 아들이며 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 홍인경(洪仁慶)의 아버지로, 종묘서 영(宗廟署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윤(德胤)@오수채 - 오수채(吳守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창(高敞).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을 지낸 오충학(吳沖鶴)의 아들로, 1540년(중종 35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