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윤(德胤)@강덕윤 - 강덕윤(姜德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형 강종윤(姜宗胤)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녹훈(錄勳)됨.
1545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윤(德胤) - 최복남(崔福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성균진사(成均進士)를 지낸 최언린(崔彥潾)의 아들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45~160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은(德恩) - 은진(恩津)
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.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, 강경산(江景山)․황화산(皇華山)에는 봉수(烽燧)가 있음.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(論山市)에 속함.
충청도>은진 , 지명>행정지명
-
덕은(德殷) - 은진(恩津)
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.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, 강경산(江景山)․황화산(皇華山)에는 봉수(烽燧)가 있음.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(論山市)에 속함.
충청도>은진 , 지명>행정지명
-
덕은군(德恩君) - 송기수(宋麒壽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은진(恩津)으로, 정미사화(丁未士禍)로 사사(賜死)된 송인수(宋麟壽)의 종제(從弟). 명종(明宗) 때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가담하여 보익공신(保翼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1507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은도정(德恩都正) - 이납(李蒳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손자이자 서원군(瑞原君) 이친(李𡩁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은송씨(德恩宋氏) - 은진송씨(恩津宋氏)
고려 때 판원사(判院事)를 지내고 은진군(恩津君)에 봉해진 송대원(宋大原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집단>성씨
-
덕은송씨(德殷宋氏) - 은진송씨(恩津宋氏)
고려 때 판원사(判院事)를 지내고 은진군(恩津君)에 봉해진 송대원(宋大原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집단>성씨
-
덕은임씨(德恩林氏) - 은진임씨(恩津林氏)
중국 당(唐) 나라 때 한림학사(翰林學士)로 동래(東來)한 임팔급(林八及)을 도시조(都始祖)로 삼고, 고려 말 태상박사(太常博士)를 지낸 임성근(林成槿)을 일세조(一世祖)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집단>성씨
-
덕응(德應) - 이덕응(李德應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윤임(尹任)의 사위로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안세우(安世愚) 등의 무고를 받아 이휘(李煇)ㆍ이염(李爓)과 함께 효수(梟首)됨.
?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이(德彛) - 봉륜(封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. 원래 수(隋)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당에 귀화함. 태종(太宗)이 치세(治世)의 방법을 묻자 시무(時務)에 입각한 형법설(刑法說)을 주장함.
568~627 중국>당ㅣ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이(德而) - 박창윤(朴昌潤)
조선 숙종(肅宗)~경종(景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태안(泰安). 황해도 수군절도사(黃海道水軍節度使) 등을 지냄.
1658~172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덕익(德益) - 이덕익(李德益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이(李珥)ㆍ홍가신(洪可臣)ㆍ이우(李瑀)ㆍ구사민(具思閔)ㆍ노국형(盧國亨) 등과 팔현회(八賢會)를 조직하여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인(德寅) - 익종(翼宗)
조선 제23대 순조(純祖)의 세자. 1827년(순조 27) 순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하였으나 4년 만에 죽음. 아들 헌종(憲宗)이 즉위 후 익종으로 추존함.
1809~183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덕일(德馹) - 방덕일(房德馹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방처인(房處仁)과 방득인(房得仁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장(德璋)@김덕장 - 김덕장(金德璋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. 구사맹(具思孟)ㆍ이이(李珥)ㆍ이우(李瑀) 등과 교유하여, 《팔곡집(八谷集)》ㆍ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ㆍ《옥산시고(玉山詩稿)》에 시(詩)가 실려 있음.
1531~?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장(德璋) - 공규(公珪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포(金浦). 공자유(公子由)의 아들로, 홍문관 저작(弘文館著作) 등을 역임하였고, 시문(詩文)에 능하였음.
150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장(德璋)@윤환 - 윤환(尹瓛)
조선 중중(中宗) 때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와 고산(孤山)을 유람할 때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장(德璋)@박찬 - 박찬(朴璨)@조선전기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대구 부사(大邱府使)ㆍ선산 부사(善山府使)를 역임함.
1470~153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재(德哉)@이의현 - 이의현(李宜顯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용인(龍仁)으로, 좌의정 이세백(李世白)의 아들. 정미환국(丁未換局) 때 파직되었으나 이인좌(李麟佐)의 무신란(戊申亂) 때 다시 기용되어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를 지냄. 노론(老論)의 영수로 추대되고, 저서로 《도곡집(陶谷集)》이 있음.
1669~174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