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조(德祖) - 양수(楊修)
중국 후한(後漢) 헌제(獻帝) 때 조조(曹操)의 모사. 태위(太尉) 양표(楊彪)의 아들로, 박학하고 견식이 넓었으나, 조조가 “계륵”이라 한 말뜻을 미리 알고 짐을 꾸렸다가 사형됨.
175~219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조(德鳥) - 옥부향(玉膚香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기생. 나주(羅州)의 기생으로 외모와 재주가 빼어나 서울 교방(敎坊)에 발탁되었고 치헌(痴軒) 권경유(權景裕)와의 일화가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서울 , 인명>기술인>기생
-
덕종(德種) - 유덕종(柳德種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선무랑(宣務郞) 유영석(柳永錫)의 아들로, 1573년(선조 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정랑(正郞) 등을 지냄.
1532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종비(德宗妃) - 소혜왕후(昭惠王后)
조선 제7대 세조(世祖)의 장남인 덕종(德宗)의 비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서원부원군(西原府院君) 한확(韓確)의 딸로, 불경(佛經)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(諺解)하였고,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인 《내훈(內訓)》을 간행함.
1437~150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ㅣ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덕좌(德佐) - 민계량(閔季良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봉선전 참봉(奉先殿參奉)을 지낸 민구(閔球)의 아들로, 내섬시 판관(內贍寺判官)ㆍ우봉 현령(牛峯縣令) 등을 지냄.
1499~157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준(德峻) - 나덕준(羅德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해배 후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냄. 박순(朴淳)ㆍ이이(李珥)와 교유함.
1553~160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지(德之) - 최덕지(崔德之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시인ㆍ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참의(參議) 최담(崔霮)의 아들. 집현전 직제학(集賢殿直提學)을 지내고 치사(致仕)하여 영암(靈岩)에 머물렀으며, 시를 잘 지음.
1384~145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암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덕지(德摯) - 김덕지(金德摯)
신라 경순왕(敬順王)의 별자(別子). 울산김씨(蔚山金氏)의 시조.
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울산 , 인명>왕실>왕자
-
덕진군(德津君) - 이활(李𤂾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조(世祖)의 손자이며 덕원군(德源君) 이서(李曙)의 아들. 숙부인 창원군(昌原君) 이성(李晟)에게 입후됨. 성희안(成希顔)과 사돈관계로 아들 성률(成瑮)을 사위로 맞이함. 왕족의 권세를 믿고 방자한 행실을 하여 지탄받음.
1469~15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덕창(德昌) - 박천(博川)
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 태종(太宗) 때 이름을 박천(博川)으로 고치고, 세조(世祖) 때 일시 폐하였다가 복구함.
평안도>박천 , 지명>행정지명
-
덕창군(德昌君) - 기정후(奇挺後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행주(幸州). 고봉(高峯) 기대승(奇大升)의 후손이며, 공조 판서(工曹判書) 기언정(奇彦鼎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ㅣ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덕천(德川) - 달천(達川)
충청도 보은(報恩) 속리산(俗離山)에서 발원, 북류(北流)하여 남한강(南漢江)으로 흘러드는 하천 이름.
충청도>충주ㅣ충청도>보은ㅣ충청도>괴산 , 지명>자연지명
-
덕천군(德川君) - 덕천군(德泉君)
조선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아들. 가난한 백성을 돕고, 왕자의 신분에도 공주(公州)에 전장(田莊)을 두고 몸소 농사를 지음.
1397~146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왕실>왕자
-
덕천사우(德川祠宇) - 덕천서원(德川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진주(晉州)에 건립한 서원. 조식(曺植)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건립함. 1609년(광해군 1)에 사액되었으며, 조식ㆍ최영경(崔永慶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(山淸郡)에 속함.
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덕천함장(德川函丈) - 조식(曺植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(李滉)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.
1501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ㅣ경상도>삼가ㅣ경상도>김해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덕첨(德瞻) - 백인국(白仁國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규합한 후 권전(權銓)과 합세하여 축산(丑山)에서 적을 격파함.
1530~161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덕충(德充) - 윤돈(尹焞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ㆍ학자. 정이(程頤)의 문인(門人)으로, 평생 과거(科擧)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, 저서에 《논어해(論語解)》ㆍ《화정집(和靖集)》 등이 있음.
1071~114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덕취(德聚) - 박균(朴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원(珍原). 참봉을 지낸 박계후(朴繼厚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유학
-
덕평군(德平君) - 이항(李沆)@1506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아들인 밀성군(密城君) 이침(李琛)의 증손. 고성군(固城君) 이강(李鋼)의 아들로, 인종(仁宗)의 장례를 담당한 공으로 덕평군(德平君)에 봉해짐.
1506~156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평부원군(德平府院君) - 기자헌(奇自獻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(奇大恒)의 손자.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폐모론에 반대하다 문외출송(門外黜送)되었으며, 이괄(李适)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사사(賜死)됨.
1562~16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