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덕평수(德平守) - 이항(李沆)@1506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아들인 밀성군(密城君) 이침(李琛)의 증손. 고성군(固城君) 이강(李鋼)의 아들로, 인종(仁宗)의 장례를 담당한 공으로 덕평군(德平君)에 봉해짐.
1506~156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덕풍군(德豊君) - 왕의(王義)
고려 공민왕(恭愍王)의 장인. 익비한씨(益妃韓氏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인척
-
덕풍부원군(德豊府院君) - 이순신(李舜臣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삼도수군통제사(三道水軍統制使)로서 임진왜란 때 여러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거두었으나 노량해전(露梁海戰)에서 전사함.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되고, 시문(詩文)에도 능하여 《난중일기(亂中日記)》등의 저서를 남김.
1545~159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덕하(德夏) - 신덕하(申德夏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세종(世宗) 때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문희공(文僖公) 신개(申槩)의 10대손. 황해 병사(黃海兵使)로 재임 중 죽음.
?~1749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무신
-
덕함(德涵) - 강해(康海)
중국 명(明) 나라 효종(孝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한림수찬(翰林修撰) 등을 지냈으며, 이몽양(李夢陽) 등과 문학의 복고(復古)를 주창한 전칠자(前七子) 중의 한 사람. 특히 산곡(散曲)에 뛰어나 왕구사(王九思)와 함께 대가로 일컬어짐.
1475~154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덕함(德諴) - 김덕함(金德諴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김홍(金洪)의 아들로, 인목대비(仁穆大妃) 폐모론에 반대하여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복직되어 대사헌(大司憲)을 지냄.
1562~1636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덕해(德獬) - 김덕해(金德獬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충좌위 부사직(忠佐衛副司直)을 지낸 김치(金淄)의 아들. 진원 현감(珍原縣監)을 지내고, 고경명(高敬命)과 교유하였으며, 《제봉집(霽峯集)》에 그의 만사(挽詞)가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덕현(德顯) - 나덕현(羅德顯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유학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감. 효심이 지극하여 인조 때 정려(旌閭)하고 사옹원 참봉(司甕院參奉)을 추증함.
1565~162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국창(菊窓) - 남응운(南應雲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무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참판 남세건(南世健)의 아들로, 문무(文武)를 겸비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내고, 전서(篆書)와 주서(籒書) 등 글씨에도 뛰어나 여러 작품을 남김.
1509~15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국처사(麴處士) - 국순(麴醇)
술의 다른 이름. 고려 후기의 문인 임춘(林椿)이 지은 가전(假傳) 〈국순전(麴醇傳)〉의 주인공. 국주(麴酎)의 아들로 태어나 임금의 깊은 총애를 얻어 중산후(中山侯)에 봉해지고 권세를 누렸으나, 치사(致仕)하고 나서 갑자기 죽음.
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국충(國忠) - 양국충(楊國忠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. 장역지(張易之)의 사위이며, 양귀비(楊貴妃)의 친척. 이임보(李林甫)와 결탁하여 현종(玄宗)에게 중용되었으나, 실정(失政)과 전횡(專橫)으로 정사를 어지럽히고, 안녹산(安祿山)과의 반목으로 안사(安史)의 난(亂)을 초래함.
?~75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국침(國琛) - 장국침(張國琛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인. 천하를 거의 두루 유람하여 풍속이 다르고 같은 것을 모두 채집하여 기문을 만듦. 고려 수도 개경(開京)에 와서 수개월 동안 머무를 때 최해(崔瀣)와 교분을 나눔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국파(菊坡)@최여지 - 최여지(崔與之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참지정사(參知政事)ㆍ우승상(右丞相)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고, 관문전 태학사(關文殿太學士)로 치사(致仕)함. 저서에는 《국파집(菊坡集)》이 있음.
1158~123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국파(菊坡) - 염국보(廉國寶)
고려 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원(瑞原)으로, 곡성부원군(曲城府院君) 염제신(廉悌臣)의 아들. 최영(崔瑩)ㆍ이성계(李成桂)에 의하여 아우 염흥방(廉興邦) 등이 제거될 때 살해됨.
?~138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국평(國平) - 안문개(安文凱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안향(安珦)의 재종질(再從姪). 충숙왕이 원(元) 나라에 억류되어 있을 때 충절을 바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, 순흥부원군(順興府院君)에 봉해짐.
1273~133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국평(國枰) - 김국평(金國枰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군수 김사희(金士熙)의 아들이며, 장포(長浦) 김행(金行)의 아버지로, 선무랑(宣務郞)에 오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국필(國弼) - 김정국(金正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동생으로,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.
1485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국필(國弼)@이국필 - 이국필(李國弼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물암(勿巖) 김륭(金隆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국학(國學) - 국자감(國子監)
고려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. 992년(성종 11)에 종래의 국학(國學)을 당ㆍ송(唐宋)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,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서학ㆍ산학 등의 전문 학과를 둠.
992 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개성 , 법제>관청
-
국한(國閑) - 이건(李楗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(敦寧府主簿)를 지낸 이대(李薱)의 셋째 아들이며, 이즙(李楫)ㆍ이백(李柏)의 아우이고, 이역(李櫟)ㆍ이노(李櫓)ㆍ이박(李樸)ㆍ이량(李樑)의 형. 통례원 우통례(通禮院右通禮)ㆍ예조참판(禮曹參判) 등을 지냄.
1505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