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국흥(國興) - 도국흥(陶國興)
일본 강호시대(江戶時代)의 문신. 태학사(太學士)를 지냄. 통신사(通信使)로 일본에 갔던 김성일(金誠一)에 관한 기록을 보고, 김성일의 신의(信義)에 감복해 그의 후손에게 흠모(欽慕)의 정을 표하는 편지를 보냄.
일본>강호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문신
-
군(頵) - 김군(金頵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취려(金就礪)의 손자이며, 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김전(金佺)의 아들로, 광정대부(匡靖大夫) 도첨의참리(都僉議參理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군거(君擧)@황수량 - 황수량(黃秀良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평해(平海). 이황(李滉)의 문인이며 금계(錦溪) 황준량(黃俊良)의 아우. 황준량 사후(死後)에 유집(遺集)을 수습하여 퇴계(退溪)에게 편차(編次)를 부탁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군거(君擧)@진부량 - 진부량(陳傅良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백웅(鄭伯熊)의 문인으로, 중서사인(中書舍人) 등을 지냄. 설계선(薛季宣)ㆍ섭적(葉適) 등과 함께 영가학파(永嘉學派)의 대표적 인물로 실용과 경제를 주장함.
1137~120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군거(君擧)@황곡립 - 황곡립(黃鵠立)
조선 효종(孝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회덕(懷德). 황종해(黃宗海)의 아들로, 1652년(효종 3)에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613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목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군거(君擧)@이덕량 - 이덕량(李德良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조카사위. 이시애(李施愛)의 난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대사헌(大司憲)ㆍ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냄.
1435~148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군거(君擧)@박수량 - 박수량(朴遂良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파직되어 강릉(江陵)으로 돌아가 시와 술로 여생을 보냄.
1475~1546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군거(君擧)@이백림 - 이백림(李伯林)
조선 전기의 유학. 1414년(태종 14) 생원시(生員試)에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아버지인 김숙자(金叔滋)와 동년(同年)으로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문사>유학
-
군거(君擧) - 김익(金釴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. 기묘사림(己卯士林)의 일원으로,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어 유배됨.
1486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군경(君卿)@두우 - 두우(杜佑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학자. 3대에 걸쳐 재상을 지냈음. 사회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정치에 밝았으며, 부국안민(富國安民)에 힘썼음. 역사연구가로, 《통전(通典)》을 저술함.
735~81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군경(君卿)@오세우 - 오세우(吳世遇)
조선 전기의 문인. 대관재(大觀齋) 심의(沈義)가 오세우(吳世遇)의 작품을 보고 지어 준 시가 《대관재난고(大觀齋亂稿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군경(君卿) - 노보세(盧輔世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동래 현령(東萊縣令)을 역임함. 《호음잡고(湖陰雜稿)》에 정사룡(鄭士龍)의 송시(送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군경(君警) - 김이탁(金履鐸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승지(承旨)를 지낸 김문행(金文行)의 아들로, 밀양 부사(密陽府使)로 있을 때 《밀양읍지(密陽邑誌)》를 편찬함.
1735~179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군계(君啓) - 조인옥(趙仁沃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판도판서(版圖判書) 조돈(趙暾)의 아들로, 전법판서(典法判書) 등을 지내고,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됨.
1347~139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군공(君公) - 두시(杜詩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문신. 횡포한 장군 소광(蕭光)을 격살(格殺)하고, 역적 양이(楊異) 등을 주벌함. 크게 선정을 베풂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군길(君吉)@김응귀 - 김응귀(金應龜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공조 정랑 (工曹正郞) 김광우(金光佑)의 아들. 1579년(선조 12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성균관 박사(成均館博士) 등을 지내고, 유덕종(柳德種)과 교유함.
1533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군길(君吉) - 정척(鄭惕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로, 호조 참판 정언각(鄭彦慤)의 아들. 1549년(명종 4)의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승지(承旨)ㆍ상주 목사(尙州牧使)를 지냄.
1517~1596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군도(君度) - 이사준(李師準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의금부 경력(義禁府經歷) 등을 지내고, 정수강(丁壽崗)ㆍ김준손(金俊孫) 등과 시와 술을 즐기며 절친하게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군량(君亮) - 노우명(盧友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풍천(豊川). 정여창(鄭汝昌)의 문인으로, 음운학(音韻學)에 조예가 깊고 해서(楷書)에 능함.
1471~152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군량(君諒) - 김심(金諶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호조 참의(戶曹參議) 김우신(金友臣)의 아들로, 도총부 부총관(都摠府副摠管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냄.
1445~1502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